“마누라 빼고 다 바꿔라?”…위기의 삼성, 8년 만에 ‘중대 결단’

2조 투자한 삼성, 공조 시장 전면 진출
AI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이 새 격전지로
플랙트 인수로 140조 시장 선점 노린다
삼성 공조 시장 진출
출처: 연합뉴스

“처자식 빼놓고 다 바꿔라”는 이건희 회장의 혁신 정신이 다시 삼성을 움직이게 했다.

삼성전자가 2조 원대 투자로 공조 시장에 전면 진출하며, AI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이라는 새로운 격전지에서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플랙트 인수를 통해 140조 시장의 선점을 노리는 삼성의 미래 통찰력이 주목받고 있다.

유럽 공조 강자 플랙트 인수… 삼성의 기술 퍼즐 완성

이번에 삼성전자가 약 2조 4천억 원을 투자해 품에 안은 기업은 독일의 ‘플랙트그룹(FläktGroup)’이다.

삼성 공조 시장 진출
출처: 연합뉴스

유럽 최대 규모의 HVAC 전문 기업인 플랙트는 데이터센터, 병원, 박물관, 공항처럼 높은 기술 수준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현장에 특화된 공조 설비를 제공해온 회사다.

AI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지금, 그 인프라를 지탱하는 데이터센터에는 막대한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을 효과적으로 식히지 못하면 서버는 멈추고, 그 순간 서비스 전체가 마비될 수 있다.

플랙트는 이런 위기를 해결하는 데 특화된 냉각 기술을 갖추고 있다. 특히 액체냉각(CDU) 방식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과 용량을 구현해, 고성능 데이터센터 고객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

지난해 유럽 데이터센터 업계 최고 권위의 ‘DCS 어워즈’에서 혁신상을 받으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플랙트는 기기 판매를 넘어 고객 환경에 맞춘 설계 역량까지 갖춘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140조 공조 시장 커진다… 삼성, 글로벌 주도권 노려

삼성 공조 시장 진출
출처: 연합뉴스

냉난방공조 시장의 외연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공항, 쇼핑몰, 산업시설 등 대규모 공간을 중심으로 중앙공조 수요가 늘고 있으며, 시장조사에 따르면 2030년까지 해당 분야는 약 14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은 연평균 18%에 달하는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삼성은 이미 지난해 미국 공조업체 레녹스와 합작법인을 세우며 북미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

이번 플랙트 인수를 통해 유럽과 글로벌 시장 전반으로 무대를 넓히고, 자사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 b.IoT 기술까지 결합해 차별화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제품 공급에 그치지 않고, 장기 유지보수나 에너지 효율 서비스처럼 수익성이 높은 영역까지 사업을 넓히려는 전략이 뚜렷하다.

‘에어컨 기업’에서 AI 인프라 설계자로… 삼성의 변신

삼성 공조 시장 진출
출처: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에어컨을 만드는 기업’이라는 기존 이미지를 벗고, AI 인프라의 핵심을 설계하는 기술 기반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플랙트를 통해 확보한 전문성과 글로벌 고객 네트워크는 데이터센터 외에도 제약, 식음료,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번 인수는 기존 사업의 범위를 넓히는 수준을 넘어, AI와 로봇, 자율주행 등으로 재편되는 산업 환경 속에서 ‘냉각 기술’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삼성의 이번 선택이 그 판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한 수’였는지, 곧 시장이 답을 줄 것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