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만 원 지원’ 문자에 속았다간 통장 털린다
가짜 사이트·스미싱 문자 기승, 피해 속출
정부 “링크 없는 공식 채널만 이용해야”

“딸이 아니었으면 큰일 날 뻔했죠.”
경기도에 사는 60대 주부 김모 씨는 며칠 전 ‘민생지원금 대상자 확정’이라는 문자를 받고 반가운 마음에 눌렀다가, 옆에 있던 딸의 제지를 받고서야 사기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평소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김 씨는 “공식 문자처럼 보여 바로 신청하려 했다”며 “딸이 ‘정부는 문자에 링크 안 넣는다’고 알려줘 다행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요즘은 좋은 소식도 먼저 의심해야 하나 보다”며 안도했다.
이처럼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식에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를 악용한 사기 수법도 함께 고개를 들고 있다.

공공재정을 활용한 정책이 정작 서민의 삶을 돕기도 전에, 허점을 노린 범죄에 먼저 악용되는 아이러니한 현실이다.
“15만 원 준다더니…” 기대 노린 사기, 당신도 노출돼 있다
이번 소비쿠폰 정책은 물가 불안과 경기 침체 속에서 민생 안정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국민 대다수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실제로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40만 원, 일반 국민도 최소 15만 원이 지급되며, 지역별 추가 지원까지 고려됐다. 여기에 오는 9월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총액보다 중요한 건 이 제도가 단발성 소비 촉진에 그치지 않고, 지역 내 소상공인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사용처가 대형마트나 온라인몰이 아닌, 거주지 인근 소상공인 가게로 제한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지원금이 주는 ‘기대감’의 반대편에는 여지없이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실제와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정교하게 꾸며진 가짜 사이트와 ‘지원금 확정’이라는 문구가 적힌 문자 메시지, 클릭을 유도하는 짧은 링크들.
누구나 한 번쯤 받아봤을 법한 이 메시지들이 바로 스미싱의 시작점이다. 한 번 클릭만 해도 악성 앱이 설치되고, 그 안에서 금융정보와 개인정보가 탈취된다.
특히 검색엔진 상단에 노출된 광고성 블로그나 웹페이지도 위험하다. 겉보기엔 친절한 가이드지만, 클릭 후에는 고의로 설치를 유도하는 유료 서비스나 허위 등록창으로 연결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지원금 노린 스미싱, 막는 법은 의외로 단순하다
피해를 막는 길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첫째, URL이 포함된 문자라면 무조건 삭제하는 것. 정부나 카드사, 금융기관은 지원금 안내 문자에 절대 링크를 포함하지 않는다.

둘째, 오직 공식 채널을 이용할 것.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 지역사랑상품권 앱, 은행이나 주민센터 외의 경로는 확인조차 하지 않는 게 상책이다.
셋째,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전화나 문자는 즉시 의심하고 차단해야 한다. 정부는 주민등록번호나 비밀번호 같은 민감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피해가 발생했다면 즉시 112, 금융감독원(1332),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에 신고해야 한다. 늦을수록 계좌 정지나 개인정보 보호가 어려워진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지 않은 고령층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원금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그 반사이익을 노리는 범죄 역시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적극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