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뿐만 아니다 ‘이 정도일 줄은’…다들 쉬쉬하는 이유 “생각보다 심각”

AI엔 수조 원, 보안엔 찔끔…투자 불균형 심화
SKT 해킹 후에도 보안 투자 여전히 저조
정보보호는 생존 조건…늦기 전에 바꿔야
대기업 보안 투자 저조
출처 : 연합뉴스

“AI에 돈 쏟아붓는다고 자랑만 하더니 정작 보안은 손 놓고 있었네.”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이후, 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다른 기업들의 보안 수준에도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현황을 들여다보면, 국내 주요 기업들은 여전히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에는 과감하게 투자하면서도, 그 기술들을 지탱할 핵심 기반인 정보보호에는 인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라는 화려한 겉모습 뒤로, 실상은 허술한 보안 체계 위에 아슬아슬하게 쌓아올린 모래성과도 같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보안은 뒷전’…천조 기업들이 천 원 벌어 1원 쓰는 현실

대기업 보안 투자 저조
출처 : 연합뉴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최근 3년 연속 정보보호 투자 내역을 공시한 국내 주요 기업 585곳의 지난해 정보보호 투자액은 총 2조2401억 원이었다.

언뜻 보면 적지 않은 금액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이 벌어들인 매출은 1787조 원에 달했다. 전체 매출 대비 투자 비중으로 따지면 고작 0.13%. 천 원 벌어 1.3원 쓴 셈이다.

반면, IT 전반에 대한 투자 규모는 매년 가파르게 늘었다. 2022년 28조 원대였던 IT 투자는 2023년 33조 원, 지난해엔 36조 원을 넘어섰다. 그러나 이 가운데 정보보호가 차지한 비중은 줄곧 6% 수준에 머물렀다.

기술 전쟁이라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한 IT 분야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지출을 아끼지 않으면서, 정보보호는 늘 ‘나중 문제’로 밀려난 셈이다.

대기업 보안 투자 저조
출처 : 연합뉴스

문제는 이 같은 경향이 보안이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는 기업들조차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다.

작년 한 해 동안 정보보호에 1000억 원 이상을 투자한 곳은 삼성전자와 KT 단 두 곳뿐이었다. 고객 데이터를 대규모로 다루는 플랫폼 기업들과 통신사들의 투자 비중은 오히려 평균에도 못 미쳤다.

네이버, 카카오, 네이버클라우드는 각각 IT 투자 대비 정보보호 비율이 3~5%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최근 유심 해킹 사태를 겪은 SK텔레콤은 4.2%로, 통신 3사 가운데 가장 낮았다.

“터지고 나서야 깨닫는다”…생존 위한 정보보호, 아직 먼 길

기업들이 보안 투자에 소극적인 이유는 명확하다. 당장의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기술처럼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분야는 ‘지금 아니면 늦는다’는 불안감에 막대한 자금이 쏟아진다.

대기업 보안 투자 저조
출처 : 연합뉴스

반면, 정보보호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존재조차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해킹 수법도 교묘해지고 있다. 단 하나의 보안 취약점이 전체 시스템을 무너뜨릴 수 있는 시대다.

SK텔레콤은 향후 5년간 7000억 원을 정보보호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업들의 체질이 바뀌고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다수 기업이 최소한의 보안 투자로 체면치레만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선언이 업계 전반에 실질적인 변화를 불러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금처럼 보안을 기술의 부속품쯤으로 여긴다면, 언젠가 그 ‘부속’이 무너지는 순간 기업 전체가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정보보호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조건이다. 더 늦기 전에, 근본적인 인식 전환과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