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비 경고 울려도 빈 박스? 사실은 로테이션 단속
보이지 않는 신종 장비, 고속도로·도심 곳곳 확대
과태료는 무인, 벌점은 현장… 방심 땐 큰 대가

도로를 달리다 보면 네비게이션이 갑자기 “속도를 줄이세요”라는 경고음을 울릴 때가 있다. 그러나 막상 눈앞에 보이는 건 비어 있는 듯한 철제 박스 하나. 운전자는 순간 의문에 빠진다.
‘정말 단속 중인 장비일까, 아니면 그저 겉만 남은 빈 껍데기일까.’ 하지만 교통 당국의 설명과 최근 단속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이야기는 훨씬 더 복잡하다.
비어 있는 듯한 단속 박스, 사실은 돌아가며 쓰이는 ‘숨은 카메라’
결론적으로, 이동식 단속 카메라에는 실제 장비가 들어 있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지방자치단체들은 같은 형태의 박스를 여러 지점에 설치해두고, 카메라 본체를 일정 주기로 옮겨가며 사용한다. 어느 날은 비어 있을지 몰라도, 며칠 뒤엔 같은 장소가 단속 지점으로 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여기에 설치·철거 시점과 지도 데이터의 반영 속도 차이까지 겹치면서 운전자는 “있으나 마나 한 장치”라는 착각을 하기 쉽다.
그러나 단속의 범위는 훨씬 넓다. 고정식 카메라뿐 아니라 삼각대 형태로 세워지는 이동식 장비, 경찰차에 탑재된 주행형 단속기, 일정 구간의 평균 속도를 계산하는 구간단속 시스템, 차량 후면 번호판을 겨냥하는 장비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경찰은 최근 고속도로에 탑재형 단속차량을 늘리고 있고, 지자체는 후면단속 장치를 확충해 오토바이나 헬멧 미착용까지 잡아내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 아무 일 없어 보이는 구간에서도 실제 단속이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다.
네비가 울리면 이유 있다… ‘깡통 박스’에도 숨은 단속의 눈

네비게이션의 경고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단말기가 단속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해 알려주는 것은 아니다.
여러 출처에서 수집한 설치 정보와 이용자 제보, 통신 데이터를 토대로 ‘단속 가능성이 높은 곳’을 알려줄 뿐이다. 따라서 운전자 입장에서는 실제 장비가 보이지 않더라도 경고음이 울리면 속도를 줄이는 것이 안전하다.
벌칙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무인 장비에 찍히면 차량 소유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되고, 벌점은 없다. 반면 경찰이 현장에서 직접 단속하면 운전자 개인이 범칙금과 벌점을 함께 받는다.
일각에선 제한 속도보다 10km/h 정도는 단속하지 않는다는 말이 돌지만, 장비별 기준이 달라 이를 믿고 속도를 높이는 건 위험하다. 특히 평균 속도로 계산되는 구간단속에선 잠깐의 방심도 치명적일 수 있다.

겉만 남은 듯 보이는 단속 카메라는 운전자를 안심시키는 장식물이 아니라, 언제든 실제 단속 지점으로 변할 수 있는 잠재적 장치다.
다양한 유형의 단속이 동시에 확대되고 있는 만큼, 표지판에 적힌 제한 속도가 가장 안전한 기준선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도로 위의 작은 방심이 큰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지금이야말로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기사거리가 너무없었군요 다들 알고있는내용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