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다 싶었는데 “여보, 그냥 쓰자”… 소비자들 손 놓은 이유 보니 ‘맙소사’

온라인 짝퉁 구매자 절반 환급 포기
명품 가방·신발 가품 피해 급증
SNS 플랫폼 가품 신고 체계 미비
가품
가품 구입 / 출처: 뉴스1

진품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밀해진 ‘짝퉁’ 제품들이 온라인 플랫폼에 넘쳐나며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복잡한 환불 절차와 가품 거래에 대한 낮은 경각심은 이러한 피해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환불 요청 포기하는 소비자들… “절차 복잡해서”

19일 한국소비자원이 8개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최근 1년 내 가품을 구매한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가품임을 모르고 구입한 소비자 중 58.6%(293명)가 환급을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가품 구매, 소비자의 무관심이 문제다.

가품
가품 구입 / 출처: 연합뉴스

환급을 포기한 이유로는 ‘환급 절차가 복잡하거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응답이 60.4%(177명)로 가장 높았다.

‘소액이라서’라는 답변도 24.6%(72명)에 달했으며, ‘정품과 큰 차이가 없어서’라는 응답도 8.5%(25명)를 차지했다.

가품임을 알고 구입한 소비자들은 더욱 충격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들은 가품 구입의 문제점에 대해 ‘잘 모른다'(45.4%), ‘체감하지 않음'(23.0%) 등으로 답해 불법 가품 거래에 대한 경각심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품 구매 품목, 명품 가방과 신발이 최다

가품
가품 구입 / 출처: 연합뉴스

국내 가품 시장은 이미 심각한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최근 5년간(2019~2023) 지식재산권 침해로 세관에 적발된 수입품 규모만 2조 902억 원에 달한다.

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가품 구매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가방(21.0%, 330건)이었다.

💡 소비자들이 가품임을 알고도 구매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비자들이 가품임을 알고도 구매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가품 구입의 문제점에 대해 많은 소비자들이 ‘잘 모른다’(45.4%)거나 ‘체감하지 않음’(23.0%)으로 답했습니다. 이는 불법 가품 거래에 대한 경각심이 낮고, 가품을 구매하는 것이 큰 문제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복잡한 환불 절차로 인해 환급 요청을 포기
  • 소액이라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음
  • 정품과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

이어서 신발 14.5%(228건), 화장품 12.5%(196건), 음향기기 10.9%(171건), 의류 9.4%(147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 신호로 지적된 것은 가격이다. 소비자원이 8개 쇼핑 플랫폼의 147개 상품 가격을 분석한 결과, 중국계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판매되는 상품 72.5%가 공식 판매가의 20% 이하 수준이었다.

중고거래 플랫폼, 안전장치 미비가 문제

SNS
가품 구입 / 출처: 연합뉴스

네이버 밴드와 인스타그램 같은 SNS 기반 중고거래에서도 심각한 가품 문제가 발견됐다.

이들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 59.2%가 공식 판매가 대비 20% 이하였고, 절반 이상의 상품 설명에 ‘정품급’, ‘미러급 정품가죽’ 등 가품임을 암시하는 표현이 노골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플랫폼들의 가품 신고 및 관리 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점이다.

소비자원은 네이버 밴드, 알리익스프레스, 쿠팡, 테무 등이 가품 신고 방법을 쉽게 찾을 수 없게 하고, 개별 문의로만 안내하고 있어 소비자 보호에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가품
가품 구입 / 출처: 연합뉴스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원은 관련 부처와 협력하여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가품 판매 차단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또한 SNS 플랫폼 내 가품 관련 단어 사용 제한과 신고 방법의 명확한 안내 등 소비자 보호 조치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 독자 의견 결과

가품 구매, 소비자의 무관심이 문제다.
아직 투표가 없습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