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차 시장 확대 가속화
출혈 경쟁은 여전한 약점
한국도 대응책 마련 필요

중국 자동차 업체들의 점유율 확장이 빨라지는 가운데 2030년에는 전 세계 판매 자동차 10대 중 3대가 중국차가 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이미 전 세계 판매에서 중국 자동차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1%를 넘어섰으며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경우 한국 자동차 업체에 미치는 영향도 작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차의 전 세계 시장 확장

블룸버그 통신은 알릭스파트너스 자료를 인용하여 2030년에는 전 세계 판매 차량 10대 중 3대가 중국 자동차 업체의 차량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올해 1~5월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373억 달러, 한화 약 51조 원 이상으로 집계되었으며 2022년의 같은 기간 대비 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여기에 중국차를 가장 많이 수입한 UAE는 수입액이 27억 달러, 한화 3조7천억 원 수준으로 3년 전보다 551%나 폭증했다.
또한 향후 5년간 중국 자동차 수출 성장세는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의 신흥 시장에서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폭발적 성장세 이면의 출혈 경쟁 지속

중국 자동차 업체의 성장세는 신흥 시장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중국차 업체들은 북미 자동차 산업의 핵심 거점인 멕시코에서도 24억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러시아 역시 중국차의 중요한 시장으로 남아 있어 22억달러어치의 중국차를 들여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계속해서 지적받고 있는 출혈 경쟁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 자동차 업계는 이전부터 내수 시장에서 과도한 가격 할인으로 인해 출혈 경쟁을 지적받았으며 중국 정부조차 자중을 요구할 정도였다.
중국의 대표적인 전기차 생산 업체 BYD는 2023년 초부터 가격 할인 전쟁을 주도하며 평균 32%의 가격 인하를 밀어붙이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러한 중국 내수 시장에서의 경쟁이 누그러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을 덧붙였다.
한국 자동차 시장의 위기

그러나 중국이 지속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면 한국 자동차 업체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가 내수 시장에서 2강 체제를 공고히 하고 중국차 공세가 이어지면서 그사이에 위치한 중견 업체들의 상황이 좋지 않다는 지적이다.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 한국GM 등 중견 완성차 3사 중 올해 상반기 판매량이 증가 추세를 보인 업체는 그랑 콜레오스를 앞세운 르노코리아뿐이었으며 KG모빌리티와 한국GM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중견 3사의 고용 인원은 도합 1만8711명이며 관련 협력 업체는 전국 8600개, 약 22만5천명이 종사하는 만큼 이들의 판매량 하락은 곧 지역 경제의 타격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국차의 시장 점유율 확대 전망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서도 면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