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10가구 중 8가구 “노후 자금 부족하다” 호소
은퇴 후 국민연금 수급까지 최대 5년 ‘소득절벽’ 직면
부모 부양하고 자녀 교육까지… ‘마처세대’ 이중고

“하루가 멀다하고 생활비가 오르는데 은퇴 준비는 언제 하나요.” 금융자산 1억 원 시대가 열렸다는 반가운 소식 뒤에 가려진 중장년층의 한숨 소리가 깊어지고 있다.
기혼 가구 10곳 중 8곳이 노후 준비가 부족하다고 호소하는 가운데,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생)들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됐다.
은퇴 후 재취업의 문은 좁고, 부모 부양과 자녀 교육까지 떠안은 이들의 어깨는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
커지는 은퇴 불안, 부족한 노후 준비

15일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소비자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 178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9천49만 원보다 1천만 원 이상 증가했지만, 기혼 가구의 77%는 노후 준비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필요하지만 준비하지 못한다는 가구도 11.9%에 달했으며,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10.6%에 불과했다.
특히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저축은 별도로 준비하지 못하고 있어 은퇴 후 생활이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마처 세대’의 이중고
이러한 노후 준비 부족 현상은 특히 베이비부머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지난해 6월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60년대생 중 15%가 부모와 자녀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 상태에 놓여있으며, 월평균 164만 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라는 의미로 ‘마처 세대’로 불린다.

멀어지는 노후 안정, 현실은 ‘소득절벽’
은퇴 후 국민연금 수급까지의 공백기 또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98년 1차 연금개혁으로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급 개시 연령이 단계적으로 늦춰지면서, 이 공백기는 더욱 길어지고 있다.
작년 기준 만 60세인 1964년은 퇴직 후 국민연금을 받기까지 3년을 기다려야 하지만,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0세 정년퇴직 후 65세가 되어서야 연금을 받을 수 있어 5년간의 소득공백이 발생한다.

국민연금연구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 중고령자들이 생각하는 적정 노후 생활비는 부부 기준 월 297만 원, 개인 기준 192만 원이다. 하지만 현실은 이와 거리가 멀다.
통계청 연금 통계를 보면, 2023년 8월 기준 월 수령액이 60만 원 미만인 비중이 73.8%에 달했다. 100만 원 이상 받는 비율은 고작 10.5%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은퇴 전부터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상건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장은 “퇴직 이후 10년이 노후생활 전반을 좌우한다”며 “퇴직 이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호주는 자국민에게 부부기준 67세부터 한국돈 월300씩 죽을때까지 지급합니다. 돈없으면 시골가서 호주정부에서 주는돈받고 살아도 충분히 먹고삽니다. 의료시스템도 무료, 암걸려도 병원비 모든비용 공짜입니다.
노인들 1도 안보는 따블당
재명이 팍팍밀어 돈푼다잔아 대기업들 털어서 나라가 망하든말든 먼상관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