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조가 날아가게 생겼다” 韓 빨간불 켜졌는데… 삼성·SK ‘승부수’ 통할까

106억 달러 수출액에 100% 관세 폭탄
미국 내 투자 서두르는 국내 기업들
삼성·애플 계약으로 위기 속 기회 모색
삼성
미국 반도체 관세 / 출처: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한국 반도체 산업이 패닉에 빠졌다.

14조 원 규모의 대미 반도체 수출 시장이 한순간에 위협받게 된 것이다.

갑작스러운 100% 관세 예고, 업계 충격

지난 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 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와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관세 변수
미국 반도체 관세 / 출처: 연합뉴스

그러면서 “미국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건설한다면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시행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날 CNBC 인터뷰에서 “내주 정도에 품목별 관세를 더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어 이르면 다음 주 관련 발표가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 달러(약 14조 7천억 원)로,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출 품목이다.

반도체
미국 반도체 관세 / 출처: 연합뉴스

국가별 반도체 수출 비중으로는 미국이 7.5%로 중국(32.8%),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 낮지만, 실제로는 조립·가공 등의 이유로 다른 국가를 거쳐 미국에 수출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14조 원 규모 수출 직격탄 우려

100% 관세라는 폭탄급 발언에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20% 관세만 부과해도 대미 반도체 수출이 최대 8.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100% 관세가 현실화된다면 수출액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미국
미국 반도체 관세 / 출처: 연합뉴스

업계 관계자들은 관세 폭탄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반도체 산업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높은 부가가치를 지닌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프리미엄 제품의 수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더욱 클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현지 생산으로 관세 장벽 넘는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미국 내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협상 카드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반도체
미국 반도체 관세 / 출처: 연합뉴스

다행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미국 현지 생산 기반을 강화해 온 상태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오스틴에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텍사스 테일러시에 제2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이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5조 4천억 원을 투자해 HBM 최첨단패키징 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최근 텍사스 공장에서 생산할 반도체를 테슬라에 이어 애플에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관세 리스크’를 완화할 발판을 마련했다.

애플은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오스틴에 있는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 세계 최초로 혁신적인 새로운 칩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
미국 반도체 관세 / 출처: 연합뉴스

업계에서는 트럼프의 극단적 관세 위협이 실제 그대로 이행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는 미국의 수많은 기업에 공급되고 있어, 100%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완제품 가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최종 관세율은 협상 과정에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반도체 주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전략적 선택이 향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좌우할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