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직원 비중 20대 초과
청년층 일자리 경쟁 더욱 치열
장기 미취업자 비율 계속 상승

취업문이 좁아지는 현실에 자녀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부모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기업 내 고령층 비중이 청년층을 처음 추월하고, 정년 연장까지 논의되면서 자녀들의 취업 기회가 줄어드는 현실에 가정마다 ‘비상등’이 켜졌다.
기업 내 ‘세대 역전’ 현상 첫 발생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 기준 500대 기업의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지난해 19.8%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감소했다.

이와 동시에 50세 이상 인력 비중은 20.1%로 0.6%포인트 증가하며 2015년 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두 연령대 비중이 역전됐다.
최근 3년간 추세를 살펴보면, 30세 미만 직원은 2022년 23만 5천923명(21.9%)에서 2024년 22만 1천369명(19.8%)으로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50세 이상 직원은 20만 6천40명(19.1%)에서 22만 4천438명(20.1%)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경기 둔화로 대부분 업종이 신입 채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고참 인력의 퇴직 지연으로 기업 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좁아지는 청년 일자리, 가중되는 불안
이러한 현상은 청년 고용 지표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통계청이 지난달 24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368만 2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만 명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도 46.2%로 0.7%포인트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서 5만 4천 명, 교육서비스업에서 4만 1천 명이 감소하는 등 핵심 업종에서 청년 일자리가 크게 줄었다.

청년층 미취업자 중 1년 이상 장기 미취업자 비율은 46.6%로 1.0%포인트 증가했으며, 3년 이상 장기 미취업자 비율도 18.9%로 0.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미취업 청년 중 ‘그냥 시간 보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5.1%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점이다.
취업 준비를 포기하고 구직 의욕마저 상실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정년 연장 논의에 청년들 “채용 감소” 우려

이런 상황에서 정년 연장 논의는 청년층의 불안을 더욱 키우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취업 청년 61.2%가 ‘정년이 65세로 연장되면 청년층 신규 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중장년 재직자는 50.6%가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해 세대 간 인식 차이를 보였다. 청년 80.8%는 조직 내 고령자 비율이 높아지면 세대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청년들은 정년 연장보다 ‘기업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방식(36.8%)을 선호했으며, 82.2%가 연공급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법정 정년 연장은 노동시장에 진입도 하지 못한 청년에게 좌절감을 줄 수 있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며 “고령자의 노후 안정을 위해 청년의 기회를 희생시키지 않는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렇게 경력없는 30대가 되고. 그러면 저 애들이 속으론 이딴데 줘도 안간다고 코웃음치던 중소기업들도 얘들 쳐다도 안보는 거고. 공무원이든 전문직 자격시험이든 뭐라도 안따면 평생 갈 직장 쿠팡하고 cu편의점이 끝인 인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