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넣어도 안 아픈 자식인데 “아들, 어쩌려고 이래”… 부모들 ‘발칵’

50대 이상 직원 비중 20대 초과
청년층 일자리 경쟁 더욱 치열
장기 미취업자 비율 계속 상승
청년
청년층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취업문이 좁아지는 현실에 자녀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부모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기업 내 고령층 비중이 청년층을 처음 추월하고, 정년 연장까지 논의되면서 자녀들의 취업 기회가 줄어드는 현실에 가정마다 ‘비상등’이 켜졌다.

기업 내 ‘세대 역전’ 현상 첫 발생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 기준 500대 기업의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지난해 19.8%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감소했다.

코인 열풍 대기업
청년층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이와 동시에 50세 이상 인력 비중은 20.1%로 0.6%포인트 증가하며 2015년 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두 연령대 비중이 역전됐다.

최근 3년간 추세를 살펴보면, 30세 미만 직원은 2022년 23만 5천923명(21.9%)에서 2024년 22만 1천369명(19.8%)으로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50세 이상 직원은 20만 6천40명(19.1%)에서 22만 4천438명(20.1%)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대기업 연봉 판도 변화
청년층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경기 둔화로 대부분 업종이 신입 채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고참 인력의 퇴직 지연으로 기업 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좁아지는 청년 일자리, 가중되는 불안

이러한 현상은 청년 고용 지표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통계청이 지난달 24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368만 2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만 명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도 46.2%로 0.7%포인트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서 5만 4천 명, 교육서비스업에서 4만 1천 명이 감소하는 등 핵심 업종에서 청년 일자리가 크게 줄었다.

청년 일자리 정책
청년층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청년층 미취업자 중 1년 이상 장기 미취업자 비율은 46.6%로 1.0%포인트 증가했으며, 3년 이상 장기 미취업자 비율도 18.9%로 0.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미취업 청년 중 ‘그냥 시간 보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5.1%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점이다.

취업 준비를 포기하고 구직 의욕마저 상실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정년 연장 논의에 청년들 “채용 감소” 우려

정년 연장
청년층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정년 연장 논의는 청년층의 불안을 더욱 키우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취업 청년 61.2%가 ‘정년이 65세로 연장되면 청년층 신규 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중장년 재직자는 50.6%가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해 세대 간 인식 차이를 보였다. 청년 80.8%는 조직 내 고령자 비율이 높아지면 세대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청년들은 정년 연장보다 ‘기업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방식(36.8%)을 선호했으며, 82.2%가 연공급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법정 정년 연장은 노동시장에 진입도 하지 못한 청년에게 좌절감을 줄 수 있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며 “고령자의 노후 안정을 위해 청년의 기회를 희생시키지 않는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1. 그렇게 경력없는 30대가 되고. 그러면 저 애들이 속으론 이딴데 줘도 안간다고 코웃음치던 중소기업들도 얘들 쳐다도 안보는 거고. 공무원이든 전문직 자격시험이든 뭐라도 안따면 평생 갈 직장 쿠팡하고 cu편의점이 끝인 인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