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분의 1로 줄였다”…불가능 뒤집는 정부의 ‘초대형 프로젝트’, 투자만 ‘무려’

LNG 넘은 K-조선, 수소 운반선 정조준
영하 253도 기술로 ‘세계 최초’ 노린다
정부·업계, 555억 투입해 상용화 시동
K-조선 수소 운반선 개발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 출처: 연합뉴스

“LNG도 모자라서 이제는 수소까지… 한국 조선 진짜 물 올랐네”

한국 조선업이 ‘LNG 운반선 최강자’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또 한 번의 기술 초격차에 도전장을 냈다.

이번 목표는 ‘액화수소 운반선’이다. 고난도 기술, 미개척 시장, 그리고 세계 최초. 세 가지 키워드를 모두 품은 이 분야에 정부와 업계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9일, 부산 벡스코에서 ‘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합동 추진단’ 출범식을 열었다. 추진단에는 조선 3사, 대학, 연구기관 등 관련 핵심 기관들이 참여해 기술 개발부터 실증, 상용화 전략까지 총괄하게 된다.

왜 액화수소인가? “부피 800분의 1, 효율 10배”

K-조선 수소 운반선 개발
액화수소운반선 / 출처: 연합뉴스

수소는 청정에너지 시대의 핵심 연료지만, 부피가 커서 대규모 운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액화’다.

기체 수소를 영하 253도로 냉각해 액체로 만들면 부피는 800분의 1로 줄어든다. 이 방식은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실을 수 있어 운송 효율이 10배 이상 높아진다.

하지만 극저온 환경에서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운반하는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아직 실증 단계에 머물러 있다. 지금껏 상용화된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은 단 한 척도 없다.

이 공백을 누가 먼저 채우느냐가 향후 수소 시장의 주도권을 좌우하게 될 전망이다.

“기술 선점이 곧 표준”… 정부-산업계, 555억 투입해 본격 시동

K-조선 수소 운반선 개발
출처: 연합뉴스

정부는 지난해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올해 55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실증 및 대형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027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실증 선박을 건조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총 43개의 연구개발(R&D) 과제가 진행 중이며, 여기에만 101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추진단은 이들 과제 간 연계를 조율하고 실증 선박 건조, 기자재 공급망 구축 등 실질적인 산업 기반 형성에 집중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한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기술 규격화와 법제 정비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이젠 기술 경쟁을 넘어, 글로벌 수소 물류 시장의 룰을 주도하겠다는 포석이다.

K-조선의 다음 항해는 이제 시작됐다. ‘불가능’을 기술로 바꾸는 한국의 조선업, 이번에도 세계 해양 산업의 기준을 다시 쓰게 될지 주목된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