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에 녹아내린 채소들
한 통에 3만원 넘는 수박
전문가들의 경고와 해결책

“지금이 가장 맛있을 때인데, 수박 한통에 3만원이면 못 먹죠”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마트 진열대가 텅텅 비어가고 있다. 시금치 100g에 1400원, 수박 한 통에 3만원을 넘나드는 가격표를 보며 소비자들은 혀를 내두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수박 한 통의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2만 9115원으로, 전월 대비 33.08%, 평년 대비 38.5% 상승했다.
폭염이 불러온 물가 폭탄

기상청이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달 1~10일 전국 평균 폭염 일수는 5.5일로 이미 지난해 7월 기록인 4.3일을 넘어섰다. 폭염일은 하루 최고 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을 의미한다.
전례 없는 더위로 인해 ‘히트플레이션’이 현실화되고 있다. 히트플레이션은 폭염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신조어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고온이나 폭염 때문에 농작물의 수확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식량 및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을 뜻한다.
더위에 약한 시금치는 100g당 1423원으로 전월 대비 75.9%, 평년 대비 10.48% 급등했다. 무는 전년보다 8.1% 저렴하지만 평년에 비하면 10.99% 비싸졌다. 특히 11일 하루 동안 8.74% 치솟는 등 더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축산물값도 불안한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0일까지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은 돼지 2만 마리, 가금류 50만 마리에 달했다. 한여름 폐사가 더 늘면 축산물 수급 불안정이 우려된다.
과거 사례로 본 물가 상승 패턴

폭염이 물가를 밀어올리는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주기적으로 재발해 왔다. 2018년은 폭염일이 역대 가장 많은 31일을 기록하며 최악의 더위를 보였다.
당시 채소물가의 전년대비 상승률은 9월부터 11월까지 두 자릿수를 나타냈다. 상추는 44.3%, 시금치는 70.5%, 생강은 104.1%의 폭등을 보였다. 수박, 복숭아, 참외 등 과일 가격도 30% 이상 치솟았다.
지난해 역시 평균 최고기온이 30.4도로 관측 사상 2위를 기록했다. 특히 배추가 53.6%, 무가 98.4%, 당근이 65.5% 등 김치 재료값이 폭등하면서 겨울철 김장물가를 끌어올렸다.
현대경제연구원이 폭염이 길었던 과거 16개 연도를 분석한 결과, 해당 기간의 평균 하반기 물가 상승률은 상반기를 0.2%포인트 웃돌았다. 특히 농축수산물의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상반기보다 0.5%포인트 높아지는 경향이 관찰됐다.
미래 전망과 정부 대응책

무더위가 자극한 식료품 물가 불안은 갈수록 공산품·서비스 등 물가 전반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중앙은행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가 점점 심해지는 시나리오에서 한국은 2035년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지금보다 0.5~1.5%포인트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도 비상 체제에 들어갔다. 물가 당국은 배추를 비롯해 개별 품목별 산지가격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주무 부처를 중심으로 병충해 예방이나 영양제 보강, 냉방 시설 등 생육 관리를 강화하고, 정부 비축물량도 최대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채소류는 현실적으로 비축이나 수입대체 모두 어렵다 보니 수확량 변동이 고스란히 소비자물가로 이어지는 구조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기후 적응 품종 개발, 농산물 수입 확대 등 다각도의 정책 대응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