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1983~2003년생)의 절반 이상이 연애 경험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를 넘어서, 현대 사회의 경제적 압박과 문화적 변화가 젊은 세대의 대인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가 밸런타인데이를 앞두고 전국의 미혼 남녀 2059세 11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75.8%가 현재 연애를 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연애를 하는 그룹은 단 24.2%에 불과했으며, 연애 횟수는 대부분 ’12회'(36.9%), ‘3~4회'(19%), ‘5회 이상'(18.5%)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결혼 적령기인 2030세대 중 57.3%가 지금까지 연애 경험이 없다고 답한 것이다.
연애를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원인'(17.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특별한 이유 없음'(15.8%), ‘마음에 드는 상대 부재'(10%), ‘귀찮음'(9.5%), ‘관심 부족'(9%)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연애 상대를 선택할 때 ‘성격'(33.5%)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고, 이어서 ‘첫인상 및 외모'(25.4%), ‘가치관'(13.6%), ‘경제적 능력'(5.9%) 순으로 답했다.
이는 전통적인 대인 관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피앰아이 관계자는 이러한 변화가 젊은 세대의 연애 관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통적인 대인 관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과 자아실현 추구 경향이 결과에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생애 미혼율은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상승하며, 이러한 현상의 사회적 영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은행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혼율의 증가와 초혼 연령의 상승은 늦은 결혼 현상의 심화를 나타내며, 이는 장기적으로 경제활동 참여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의 정선영 과장은 “미혼 인구 비중의 증가가 지속될 경우 경제활동 참가율의 장기 추세가 당겨지며, 정점 수준이 낮아지고 정점을 지난 후 감소 속도가 가팔라질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정선영 과장은 인구의 미혼화 현상을 완화하고 미혼자를 고려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종합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혼인 및 출산율을 제고하고, 미혼자가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경제활동 참여율 변동에 따른 사회적 충격을 완화하는 중요한 조치로 여겨진다.
나는 연애 하고십고. 결혼 하고십은 94년생 남성 입니다. 진짜 하고십은대. 연애 상대가 없는건
먼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