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살 때 시작된 작은 발걸음”…43년 후 전 세계 ‘발칵’ 뒤집었다

봉준호 감독 누나가 말한 “특별히 끼가 있진 않았던” 소년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배려심으로 주변 기억돼
봉준호의 ‘미키 17’, 북미 박스오피스 1위 등극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봉준호 감독 신작 ‘미키 17’ 북미 박스오피스 1위 / 출처-넷플릭스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이 개봉 첫 주말, 북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이는 한국 감독이 이룬 최초의 기록이다.

박스오피스 1위, 그럼에도 아쉬운 ‘미키 17’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2)
영화 ‘미키 17’ 촬영장 / 출처-연합뉴스

지난 9일(현지시간) 할리우드 매체 버라이어티와 데드라인에 따르면, 미키 17은 개봉 후 사흘간 북미 3,807개 상영관에서 1,910만 달러(한화 약 277억 원)의 티켓 수익을 거두며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또한 북미 외 지역에서는 3,420만 달러(한화 약 495억 원)를 추가로 벌어들여, 개봉 첫 주 전 세계 흥행 수입은 5,330만 달러(한화 약 771억 원)에 달했다.

그러나 제작사 워너브라더스가 투입한 제작비 1억 1,800만 달러(한화 약 1,710억 원)에 마케팅 비용 8,000만 달러(한화 약 1,160억 원)까지 더하면, 흑자 전환을 위해서는 최소 2억 7,500만 달러(한화 약 3,980억 원)의 수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3)
워너브라더스 / 출처-연합뉴스

데드라인은 “이 오리지널 SF 영화의 수익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워너브라더스에겐 아쉬운 주말이 됐다”고 전했다.

12살 소년의 꿈, 전 세계를 사로잡다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4)
봉준호 감독 / 출처-연합뉴스

봉준호 감독은 어린 시절부터 조용한 성격이었다. 그의 누나는 “말수가 적고 느리지만, 공부를 잘했고 리더십도 있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단순히 조용한 학생이 아니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해 밥을 챙겨주는 등 따뜻한 마음을 지닌 아이였다.

그의 창의력은 아버지의 서재에서 비롯됐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영화, 건축, 디자인 관련 서적을 접하며 감각을 키웠다.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5)
봉준호 감독과 배우 로버트 패틴슨 / 출처-연합뉴스

또한, 1970~80년대 당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만화를 금기시했지만, 그의 가족은 함께 만화를 보며 즐겼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그는 예술적 감수성을 키울 수 있었다.

부모님의 열린 사고, 감독 봉준호를 만들다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6)
봉준호 감독의 ‘미키 17’ 포스터 사진 / 출처-연합뉴스

한편 어린 시절부터 영화를 사랑했던 그는 12살 때부터 영화감독의 꿈을 품었다. 당시 이장호, 배창호 감독을 보며 영화학과를 나오지 않아도 감독이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하지만 부모님의 지원이 없었다면 이 꿈은 이룰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당시에는 많은 부모가 자녀의 예술적 꿈을 반대하는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봉준호의 부모는 달랐다. 그가 영화감독이 되고 싶다고 했을 때 “쓸데없는 짓 말고 공부나 하라”고 말하기는커녕, “하고 싶은 것은 다 해봐라”며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덕분에 봉 감독은 스스로의 길을 개척할 수 있었다.

Director Bong Joon ho Mickey17 (7)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감독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 / 출처-연합뉴스

그렇게 조용하고 내성적이었던 한 소년은 50년 후, 기생충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을 석권하고, 미키 17으로 할리우드를 다시 한번 뒤흔들었다. 마치 세상을 바꾼 그의 영화처럼, 봉준호 감독의 인생도 한 편의 영화 같은 삶을 이어가고 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다이소 유통 시장 확장

싸다고 너도나도 갔는데…”정부, 결국 칼 빼드나?” 심상치 않은 분위기에 ‘설마’

더보기
특허청 현대 특허

한국인의 비상한 머리? “이런 나라 어디 없어요”…500년 만에 ‘깜짝’ 소식

더보기
SK온 배터리 계약

세계 1위 기업이 ‘러브콜’ “한국 콕 집었다”…이제야 판도 뒤바뀌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