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젊은 사람들 돈 벌면 무조건 현대차? 푹 빠진 이유

2030세대가 선택한 현대차
실용성과 가성비가 트렌드
변화하고 있는 소비 패턴
Top5 Hyundai cars of the 2030 generation
아반떼 (출처-현대차)

고급 세단과 실용적인 SUV, 그리고 가성비 끝판왕까지. 2025년 1분기, 2030세대의 자동차 선택은 어느 때보다 ‘실용과 감성’ 사이에서 명확한 흐름을 드러냈다.

현대차 내연기관 승용차 판매량과 업계 평가를 종합해 보면, 이들은 더 이상 단순한 ‘첫 차’를 사는 세대가 아니다.

가족과 함께 할 SUV, 감성을 자극하는 프리미엄 세단, 그리고 출퇴근길을 책임질 가성비 모델까지. 20~30대 소비자의 소비 패턴은 분명히 변화하고 있었다.

1위. 아반떼(Avante) – “도심 속 실용주의자, 그들이 고른 첫 차”

Top5 Hyundai cars of the 2030 generation (2)
아반떼 (출처-현대차)

아반떼는 여전히 ‘2030의 국민차’로 불릴 만한 명성을 지키고 있다. 2025년 1분기 기준 국내 약 2만5천대 가량 판매되면서 내연기관 승용차 중 현대차 내 최다 판매 모델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디자인은 날렵해졌고, 연비는 높아졌으며, 안전·편의 사양은 기본으로 제공되는 수준까지 올라왔다. 특히 교통 체증이 잦은 도심 주행에 최적화된 크기와 반자율 주행 기술 등 첨단 기능들이 주목을 받았다.

이에 따라 1인 가구나 자취하는 직장인, 사회초년생에게 ‘처음이자 충분한 차’라는 인식이 강하다.

2위. 그랜저(Grandeur) – “프리미엄 감성과 실용성의 공존”

Top5 Hyundai cars of the 2030 generation (3)
그랜저 (출처-현대차)

월 평균 6천대 가까이 판매되는 그랜저는 과거에는 중장년층의 전유물이었지만 지금은 2030세대의 프리미엄 세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단순히 외관이 고급스럽다는 차원을 넘어, 조용한 실내, 광활한 레그룸, 고급 소재의 마감까지 젊은 층이 충분히 만족할 수준에 도달했다.

여기에 하이브리드 모델도 함께 제공되며 실용성까지 겸비했다. ‘돈은 아끼되 품격은 포기하지 않겠다’는 젊은 소비자들의 메시지가 그랜저 선택에 담겨 있는 것이다.

3위. 싼타페(Santa Fe) – “가족과 떠나는 여행, SUV는 그 시작점”

Top5 Hyundai cars of the 2030 generation (4)
싼타페 (출처-현대차)

중형 SUV 싼타페는 단순히 ‘크고 튼튼한 차’가 아니다. 2025년 1분기 국내 약 1만6천대가 판매되며 SUV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특히 신형 모델 출시에 힘입어 외관 디자인은 더욱 세련되졌고, 더욱 광활해진 실내는 마치 고급 리빙룸처럼 탈바꿈했다.

이에 따라 패밀리카로서 안전성과 편의성은 기본, 주말마다 캠핑과 차박을 즐기는 젊은 부부들에게는 필수 차량으로 통하고 있다. ‘SUV=아빠차’라는 편견을 벗고, ‘내 삶의 무대를 넓혀주는 도구’로 진화한 것이다.

4위. 투싼(Tucson) – “가장 현실적인 SUV, 투싼”

Top5 Hyundai cars of the 2030 generation (5)
투싼 (출처-현대차)

투싼은 ‘딱 이만큼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실용주의적 정서를 가장 잘 대변하는 모델이다. 2025년 1분기 내수 기준 약 1만3천여대가 판매되며 중형 SUV와의 간극을 좁혔다.

투싼의 경우 준중형 사이즈로 크기는 아담하지만, 트렁크 공간과 2열 좌석의 활용도는 충분히 넓어 혼자 혹은 둘이 타기 딱 좋다.

또한 경제적인 연비와 합리적인 가격은 말할 것도 없고, 첨단 안전 사양까지 꼼꼼히 챙긴 점이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첫 SUV를 고민하는 사회초년생, 또는 신혼부부에게 ‘타보고 만족하는 차’로 통한다.

5위. 쏘나타(Sonata) – “가족과 함께한 첫 드라이브”

Top5 Hyundai cars of the 2030 generation (6)
쏘나타 (출처-현대차)

쏘나타는 오랜 시간 현대차의 중심을 지켜온 모델이지만, 여전히 새롭다. 2025년 1분기 내수 판매량 약 1만1천여대를 기록하며 2030세대의 꾸준한 선택을 입증했다.

특히 가솔린,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고를 수 있고, 세단 특유의 승차감과 안락함은 출퇴근과 패밀리카 모두에 적합하다.

여기에 디자인 역시 과거의 보수적인 이미지를 벗고, 보다 미래지향적이고 역동적으로 바뀌었다는 점도 한 몫 했으며 첫 패밀리카, 첫 장거리 드라이브, 첫 자녀 등 인생의 여러 ‘처음’에 함께하는 차로 자리 잡고 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

  1. 얼마 받고 이런기사를 쓴거냐 ㅋㅋ아반떼 말고. 전부 쓰레기. 아반떼도 이제 가성비도 없다 수입차 널리고 널렸다

  2. 아반떼CN7 하고 그렌져GN7은 잘 나왔지. 판매량도 압도적이고..
    근데 소나타는 폭망했고..산타페는 디자인 난해해서 망한차종인데 현대차가 다 좋다고 적긴 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