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내가 그때 사자고 했잖아”…다시 들썩이는 금값, 충격 이유 있었다

스위스 금괴에 39% 관세 부과
글로벌 금 시장 급변동 시작
한국 금값도 고공행진 지속
금
미국 금괴 관세 부과 /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예고 없이 터뜨린 관세 폭탄이 전 세계 금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통관 결정서에 따르면, 1kg 금괴와 100온스 금괴가 새로운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됐다.

이는 업계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결정이다. 금 관련 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 관세 공세에서도 1kg 금괴만큼은 예외가 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추가 매수에 나서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39% 관세에 스위스 타격

세계 최대 금 정제 국가인 스위스가 가장 큰 충격을 받았다. 스위스는 미국으로부터 39%라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받게 된 상황이다.

금
미국 금괴 관세 부과 / 출처 : 연합뉴스

파이낸셜타임스가 8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1kg 금괴는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널리 거래되는 표준 형태로 스위스가 미국으로 보내는 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실제로 스위스는 작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2개월간 무려 615억 달러어치 금을 미국에 수출했다. 세관 자료를 보면 금은 스위스가 미국에 수출하는 핵심 품목 중 하나다.

스위스 귀금속 제조 및 거래 협회의 크리스토프 빌트 회장은 이번 조치가 양국 간 금 무역에 또 다른 타격을 가했다면서 공급망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시장 혼란 가속화

관세 부과 소식이 전해지자 금 시장에는 즉각 변화가 나타났다. 뉴욕 금 선물 가격은 트로이 온스당 3534.1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가에 근접했다. 런던 시장의 금 현물가는 3300달러대에서 거래되면서 두 시장 간 가격 차이가 125달러 이상으로 벌어지는 이례적 현상이 발생했다.

금
미국 금괴 관세 부과 / 출처 : 연합뉴스

관세 부과를 예상한 거래업자들은 올해 초부터 선제적으로 금을 미국으로 이송해왔다. 그 결과 뉴욕상품거래소의 금 재고는 급증했고, 런던 시장에서는 일시적 품귀 현상까지 나타났다.

이번 조치가 특히 큰 충격을 주는 이유는 1kg 금괴가 뉴욕 시장의 핵심 거래 품목이기 때문이다. 런던에서는 벽돌 크기의 400 트로이 온스 금괴가, 뉴욕에서는 스마트폰 크기의 1kg 금괴가 표준으로 거래되는데, 이번 관세는 뉴욕 시장을 직격한 셈이다.

올해 들어 금 가격은 이미 27% 상승해 한때 트로이 온스당 3500달러를 돌파했다. 물가 상승 우려와 미국 정부 부채 급증, 달러화 지위 약화 등이 금 가격 급등을 부추기고 있다.

한국 시장도 직격탄, 안전자산 쏠림 현상

미국발 금괴 관세 파동은 한국 금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8일 순금 1돈은 구매 시 65만 3000원, 판매 시 56만원 선의 높은 가격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램당 24캐럿 금 가격은 15만원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금
미국 금괴 관세 부과 / 출처 : 연합뉴스

2025년 들어 국내 금값은 작년 대비 43% 이상 급등한 상태다. 국제 금시세 상승에 원달러 환율 변동까지 맞물려 상승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환율이 1350원대 높은 수준을 지속하면서 금값 인상 요인이 더해지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금통장과 실물 금,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 등 투자상품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개인들의 금 관련 금융상품 신규 개설도 대폭 증가한 상황이다.

주얼리 업계와 금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산업계에서는 원가 상승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금값 급등이 최종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미국의 1kg 금괴 관세 부과가 단기적으로는 국제 금 시장의 혼란과 가격 급등을, 장기적으로는 거래 구조 재편과 투자 심리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분간 금값의 고공행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