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치 않더니” 옆나라 비명…평균 1,000만 원씩 인상? “한국도 똑같이 당한다” 경고

댓글 0

“RAV4 한 대에 천만 원↑”…日차 직격탄
미국, 관세 앞세워 생산기지 재편 압박
韓도 예외 아냐…수출 전략 전환 불가피
상호관세 일본 직격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남일 같지가 않네 한국도 곧 저렇게 될까 무섭다.”

미국이 무역의 칼을 다시 뽑아 들었다. 이번에는 일본을 정조준한 25% 관세 카드다.

이미 수십 개국에 발송된 ‘관세 고지서’는 무역 갈등을 넘어선 전방위 압박 신호다. 미국에 직접 투자하지 않으면 고율의 관세 장벽에 가두겠다는, 분명하고 강력한 최후통첩이다.

이 무거운 청구서 앞에 일본과 한국의 핵심 산업이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섰다.

“RAV4 한 대에 천만 원↑”… 관세 한 방에 흔들리는 일본차

상호관세 일본 직격탄
출처 : 연합뉴스

가장 먼저 충격파를 맞는 곳은 일본 제조업의 심장인 자동차 산업이다. 대미 수출액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분야이기 때문이다.

관세가 현실화되면, 도요타 RAV4, 혼다 CR-V 등 미국 시장의 인기 모델들은 순식간에 8,000달러 이상 가격이 급등한다.

소비자가 체감하는 인상 폭은 우리 돈으로 1천만 원을 훌쩍 넘는다. 이는 ‘합리적 가격과 신뢰성’을 내세웠던 일본차의 최대 강점이 소멸되고, 한 체급 위 차량과 경쟁해야 하는 사태를 의미한다.

파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산업용 기계, 첨단 전자부품 등 일본이 강점을 가진 다른 수출 품목 전반으로 확산하며 산업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게 된다.

상호관세 일본 직격탄
출처 : 연합뉴스

하지만 이번 조치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관세 그 자체보다 워싱턴의 속내를 들여다봐야 한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문제는 관세가 아니라 투자의 부족”이라고 강조한 대목이 이를 명확히 보여준다.

실제로 켄터키, 앨라배마 등 미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된 일본차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는 일본 기업들에 ‘자국에서의 수출’을 줄이고 ‘미국 내 생산’을 늘리라는 선택을 강요하는 것이다.

같은 브랜드의 같은 모델이라도 수입산과 미국산의 가격표가 달라지는 시장의 분열을 감수시켜서라도, 생산기지를 미국 본토로 이전시키려는 전략이다.

“강 건너 불 아니다”… 한국도 관세 압박 정면 마주할 수도

상호관세 일본 직격탄
출처 : 연합뉴스

이는 강 건너 불이 아니다. 한국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경우,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를 시작으로 철강, 가전,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이 연쇄 타격을 입게 된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 공장이 일정 수준 완충재 역할을 하겠지만,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물량의 경쟁력 약화는 피할 수 없다.

특히 반도체에 대한 관세는 미국 IT 기업의 원가 부담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층 더 복잡한 파급 효과를 낳을 수 있다.

결국 미국은 관세를 강력한 지렛대로 삼아 자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다. 이제 일본과 한국은 고율의 관세를 감수할지, 대미 투자를 대폭 확대할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상호관세 일본 직격탄
출처 : 연합뉴스

이는 단기적인 수출 실적을 넘어, 기업의 미래 생존과 국가 경제의 장기적인 방향을 결정할 전략적 선택이다. 세계 무역의 룰이 바뀌고 있으며, 과거의 성공 방정식이 더는 유효하지 않은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