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만 명 이용하던 삼성페이인데 “애플 때문에 돌변?”…무슨 일?

댓글 1

‘지갑 없는 일상’ 만든 삼성페이, 수수료 없이 10년 독주
애플페이, 교통카드·제휴 확대로 2차 반격 시동
삼성도 수수료 카드 꺼내며 전략 전환 검토
삼성페이 수수료 애플페이 경쟁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뱅크

“애플페이 들어오니까 삼성도 긴장하긴 했네.”, “결국은 돌고 돌아 소비자가 다 내게 될 것 같아 걱정이다.”

국내 스마트폰 결제 시장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그 중심에는 10년 가까이 오프라인 결제를 장악해온 삼성페이와 최근 본격 반격을 시작한 애플페이가 있다.

두 서비스의 경쟁은 기술력을 넘어 사용자 경험을 중심에 둔 치밀한 전략 싸움이다.

‘지갑 없는 일상’ 만든 삼성페이, 10년 독주 배경은

삼성페이 수수료 애플페이 경쟁
출처 : 연합뉴스

삼성페이는 2015년 등장과 동시에 한국 결제 생태계를 바꿔놓았다.

갤럭시 스마트폰에 기본 탑재되며 MST와 NFC를 동시 지원해 대부분의 카드 단말기를 통과했다.

교통카드, 모바일 신분증, 디지털 키 등을 담은 ‘삼성월렛’까지 더해지며 사용자는 지갑 없는 일상이 가능해졌다.

무엇보다 삼성은 결제 수수료를 카드사에 받지 않는 대신, 자사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전폭적인 혜택으로 돌렸다. 그 결과, 삼성페이는 국내에서만 1700만 명 넘는 사용자를 확보하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해왔다.

삼성페이 수수료 애플페이 경쟁
출처 : 연합뉴스

반면 2023년 현대카드와 함께 등장한 애플페이는 한계를 드러냈다.

국내 EMV 방식 NFC 단말기가 부족해 ‘결제할 수 있는 곳’ 자체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실제 조사에서도 애플페이 이용 경험은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지금은 분위기가 달라졌다. 티머니의 애플페이 교통카드 연동 예고로 아이폰 이용자도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해졌고, 신한·KB국민 등 카드사들도 도입을 준비 중이다.

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사용처도 빠르게 늘고 있어 2차 공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우리도 수수료 받는다?” 삼성의 반격, 시작될까

삼성페이 수수료 애플페이 경쟁
출처 : 연합뉴스

삼성전자의 대응도 눈에 띈다. 그동안 ‘혜택 중심 서비스’를 강조하며 결제 수수료를 받지 않았지만, 애플이 국내 카드사에 0.15%의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자 삼성 역시 수수료 부과 방안을 고려 중이다.

다만 삼성페이 유료화를 둘러싼 전망은 엇갈린다. 낙관적인 시각에서는 카드사들의 전체 영업이익 규모를 고려할 때 삼성페이 수수료가 큰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게다가 삼성전자가 수익을 다시 사용자 혜택으로 돌리겠다고 밝힌 만큼, 오히려 기존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반면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카드사들이 결국 수수료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삼성페이 수수료 애플페이 경쟁
출처 : 연합뉴스

실제로 애플페이 도입 이후 현대카드의 일부 혜택이 축소된 사례를 보면, 삼성페이 유료화 역시 전반적인 카드 혜택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결제 수단 경쟁은 기술력만으로 판가름 나지 않는다. 얼마나 많은 사용자를 자사 생태계에 머무르게 하느냐가 핵심이다.

삼성과 애플의 경쟁은 이제 결제 시장을 넘어 모바일 라이프 전체를 겨냥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선택지가 생기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1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