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자영업 뛰어든 고령층
절반 이상이 월 200만 원도 못 벌어
나이 들수록 생계 더 막막해져

“손님 없는 날엔 그냥 가게 불만 켜놔요.”
서울 동작구에서 1인 미용실을 운영하는 63세 김모 씨는 텅 빈 가게를 바라보며 한숨을 쉰다. “하루종일 한 명도 안 올 때가 많아요. 그럴 땐 전기세만 축내죠.”
직장을 그만두고 시작한 자영업이지만, 임대료와 공과금을 내고 나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입이 남는다. “이 나이에 다시 취직도 어렵고, 손님도 없어… 그저 버티는 거죠.”
2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새로 자영업을 시작한 사람 중 58.8%가 50세 이상이었다. 대부분은 직장 생활 1년 이상을 마친 뒤 퇴직해 ‘마지막 선택지’로 자영업을 택한 경우다.
절반은 ‘생계형 업종’…바닥난 진입장벽에 수익성도 낮아

이들 중 절반가량(53.8%)은 유통·소비자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생계형 자영업자’로, 진입장벽은 낮지만 수익성도 낮은 업종이다.
실제로 5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8명 이상(83.4%)이 직원 한 명 없이 홀로 일하고 있으며, 월평균 수입은 최저임금인 199만 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창업 전 근로 경력이 길다고 무조건 소득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다. 1~3년 일했던 고령 자영업자가 월평균 338만7000원으로 비교적 많은 편이었고, 16~17년 경력자는 333만7000원이었다.
하지만 7~9년 근무자는 202만9000원, 10~12년 근무자는 188만6000원에 불과했다. 업종이나 적성, 자본금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50대→380만 원, 60대 이상→143만 원 ‘뚝’…맞춤형 지원 시급

특히 산업 경험 없이 창업한 고령층의 상황은 더욱 암담하다. 월 평균 순소득이 144만3000원에 그쳤고, 그중 82.9%가 저임금 자영업자로 분류됐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득 격차는 더 뚜렷해진다. 50대 자영업자는 월평균 380만2000원을 벌지만, 60세 이상은 143만1000원으로 크게 떨어진다. 70세 이상 자영업자 89.7%가 영세사업자로 분류될 만큼 극빈층 수준에 놓인 현실이다.
보고서는 “퇴직 후 자영업에 뛰어든 고령층 다수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익으로 힘겹게 버티고 있다”며 “재취업 기회를 늘리고, 자영업자의 경제적 성과를 높일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직장을 떠나 ‘나만의 가게’를 꿈꾸는 이들이 늘어나는 만큼, 그 꿈이 생존과 직결되는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계엄으로 나라를 망쪼들게 한 멍청이를 옹호하는 인간들을 정말 이해하기가 힘들다.
계엄이팩트가 아니고 문재앙 5년내내 개뻘짓거리 때문에 그여파가 지금껏 오는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