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걸 먹였다고?” 2급 발암물질 나온 곳이 하필…전국 부모들 ‘날벼락’

빵 하나에 줄 서던 열풍…SPC 3조 신화
시화공장서 사망사고, 윤활유서 독성 검출
제조과정 의혹에 소비자 신뢰 금 가기 시작
SPC 공장 발암물질 검출
출처 : 연합뉴스

“그렇게 돈 벌면서 왜 안전관리는 이렇게 허술하냐?”, “하도 잘 나간다 싶더니 결국 터질 게 터졌네.”

SPC삼립, 전국민의 빵을 책임지던 그 공장에서 독성 물질이 나왔다

포켓몬빵, 산리오빵, 크보빵. 귀여운 캐릭터들이 인쇄된 이 빵들은 최근 몇 년간 전국 편의점과 마트를 휩쓸며, SPC삼립을 ‘빵계의 제왕’ 자리에 올려놓았다.

지난 해엔 포켓몬빵 누적 판매량이 2억 5천만 개를 돌파했고, 산리오빵과 크보빵 역시 빠른 속도로 대중의 입맛과 마음을 사로잡았다.

SPC 공장 발암물질 검출
출처 : 연합뉴스

이 열풍에 힘입어 SPC삼립의 연매출은 3조 원을 훌쩍 넘겼고, 베이커리 시장에서 전례 없는 호황을 누리게 됐다.

이렇게 실적이 최고조에 달했던 그 시기,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사고가 찬물을 끼얹었다.

“식품용이 맞나?”…사망 사고 현장서 나온 윤활유, 발암물질 검출

지난 5월, 이 공장에서 근무하던 50대 여성 노동자가 윤활 작업 중 기계에 끼여 숨졌다.

사고 현장에서 나온 윤활유 용기부터 심상치 않았다. 식품용이라 보기 어려운 외형에, 안에서는 예상치 못한 유해 물질까지 검출됐다.

SPC 공장 발암물질 검출
출처 : 연합뉴스

국과수 감정 결과, 해당 용액에서는 염화메틸렌과 이소프로필알코올, 즉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 중 염화메틸렌은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2급 발암 추정물질로 분류하는 독성 성분이다.

문제는 이 윤활유가 제빵 공정에 실제로 사용됐다는 점이다. SPC 측은 식품 등급 윤활유만 사용했다고 해명했지만, 경찰은 이 제품에 공업용 윤활유가 섞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확대 중이다.

문제의 출처는 아직 불명확하다. 유통 과정에서 섞였는지, 작업자의 실수였는지, 아니면 더 깊은 구조적 문제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완제품 크림빵에서는 유해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소비자 불신은 이미 퍼지기 시작했다.

아이들 빵에서 왜 이런 일이…신뢰 흔든 SPC의 그림자

SPC 공장 발암물질 검출
출처 : 연합뉴스

아이들의 간식이자 어른들의 추억이던 빵. 그 제작 과정에 독성 물질이 개입되었을 가능성만으로도 소비자들의 신뢰는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이 사건이 SPC가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던 정점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그 상징적 충격은 더욱 크다.

수익 뒤에 가려진 현장의 안전 문제, 관리 시스템의 허점, 그리고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되는 노동자와 소비자. 이 모든 질문들이 지금 SPC삼립이라는 이름 앞에 남아 있다.

지금은 아직 단정할 수 없다. 하지만 기업의 눈부신 성장 이면에서 무너지고 있던 안전의 균열을 더는 방치해선 안 된다. 신뢰는 한순간에 무너지고, 회복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더 늦기 전에, 근본적인 변화와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