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자 경쟁 가속, 한국은 예산 삭감
미·일 대규모 투자, 기업 가치 급등
AGI 시대, 한국 경쟁력 우려 커져
“다들 AI에 투자한다는데, 우리는 왜 예산을 줄이는 거지”, “AGI 시대 온다는데 뒤처지는 거 아닌지 걱정이다”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에서 투자 경쟁이 가속화되는 와중에, 한국은 오히려 연구개발(R&D) 예산을 삭감하며 뒤처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미국과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수십조 원 단위의 대규모 투자를 쏟아부으며 AI 기업들의 기업 가치가 급등하는 상황인데, 한국이 이 흐름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AI 업계, 투자 경쟁으로 기업 가치 폭등
블룸버그 통신은 7일(현지시간) 오픈AI와 경쟁하는 앤스로픽이 약 2조9천억 원(2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할 것으로 보도했다.
이로써 앤스로픽 기업 가치는 약 87조2천억 원(6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인데, 지난해 투자 유치 당시 평가액인 184억 달러를 세 배 이상 뛰어넘는 규모다.
AI 분야에서는 이미 거대한 자금이 움직이고 있다. 오픈AI는 지난해 10월 66억 달러 투자 유치로 기업 가치를 약 1천570억 달러로 끌어올렸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xAI 역시 최근 60억 달러 투자를 받아 450억 달러 기업 가치로 평가받았다. 앤스로픽은 지난해 3월과 11월, 아마존으로부터만 총 80억 달러를 투자받으며 경쟁력을 강화했다.
일본 91조 투자 vs 한국 삭감, 대조적 행보
이처럼 AI 기업들의 기업 가치가 급상승하는 건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이 가까워졌다는 기대감도 크게 작용한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최근 블로그에서 “이제 우리는 AGI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올해 기업 현장에 첫 번째 AI 에이전트가 투입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은 2024년 R&D 예산을 전년 대비 14.7% 삭감하는 방침을 세워 전문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본이 AI와 반도체 산업에 91조 원 이상을 투자하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이미 1만2천여 건의 연구 과제가 변경되고, 217개 과제가 중단돼 약 2천억 원의 매몰비용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R&D 예산 삭감, 한국의 미래를 위협하다
지난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현장의 위기가 고스란히 전해졌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R&D 예산 축소로 현장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고 말했고, 김우영 민주당 의원은 “정부가 R&D 카르텔을 문제 삼았는데, 정작 무용학과 교수에게 인공지능 기반 연구 과제가 배정되는 모순이 벌어지고 있다”며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AI 경쟁에서 뒤처지면 향후 AGI 시대를 맞이하는 데 있어 핵심 기술과 시장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전 세계가 AI 개발에 사활을 거는 이 시점에서, 국내 R&D 예산 삭감이 결국 한국의 미래 성장 동력까지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예산을 누가 쥐락펴락 했더라? ㅋㅋ 다수당의 횡포를 목도했다. 진짜 한쪽만 밀어줄때 얼마나 큰 위험이 닥치는지를~
24년 과기예산. 삭감
카르텔 재정비한다고 윤 머시기가 삭감한걸. 야당 탓 하는것들은 븅신들이지
야당은 국회에 넘어온거 삭감밖에 못함.
그래서 특활비 없애고. 윤석열이 해외여행비로 쓴 예비비 없앤것임. 과학기술 예산은 삭감힌거 거의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