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가면 큰일 난다”…한은이 작정하고 경고한 ‘이것’, 대체 무슨 일이?

한은 “부동산 대출, 여전히 위험”
GDP보다 많은 돈이 대출에 묶여
주담대 늘고 가계부담 갈수록 커져
가계부채 위험 여전
출처: 뉴스1

“갚아도 갚아도 끝이 없네요. 대출이 내 인생을 삼키는 기분입니다.”

한국은행이 국내 부동산 금융의 위험 노출에 대해 다시 한 번 경고음을 울렸다.겉보기엔 증가세가 다소 완만해졌지만, 여전히 가계 중심의 부동산 대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잠재 리스크가 누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 관련 금융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4121조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00조 원을 넘어선 것이다.

이 가운데 실질적인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2681조6000억 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105.2%에 달하는 수치다. 말 그대로 우리나라 전체 경제 규모보다 더 많은 돈이 부동산 관련 대출에 묶여 있다는 뜻이다.

가계대출 절반 차지…늘어나는 주담대 부담

가계부채 위험 여전
출처: 뉴스1

더 심각한 문제는 이 가운데 약 절반(48.8%)이 가계대출이라는 점이다. 가계 부문에서의 부동산 대출 잔액은 1309조5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3.6%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주 원인이다.

한은은 특히 정부의 정책금융 확대가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실제로 부동산 관련 가계대출 중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로 확대됐다.

주거 안정이라는 이름 아래 지원된 정책금융이 결과적으로 가계의 부동산 노출을 키운 셈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금융 여건이 완화되면 위험 자산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자산 매입을 위한 대출 수요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며 “부동산 쏠림 현상은 자칫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줄어든 PF 대출, 하지만 안심은 이르다

가계부채 위험 여전
출처: 뉴스1

한편, 부동산 개발사업에 쓰이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은 오히려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PF 대출 잔액은 187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8% 줄었다. 부동산 시장 경색과 함께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나타난 수치로 해석된다.

하지만 PF 감소가 곧 시장의 안정화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한은은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주택담보대출 등 일부 부문에서는 위험이 계속 쌓이고 있다”고 밝혔다.

결국 한은의 메시지는 명확하다. 지금은 단기 지표에 안도할 때가 아니라, 누적된 리스크를 면밀히 관리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부동산에 과도하게 자금이 쏠릴 경우 전체 경제의 체력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경고는 결코 가볍지 않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7

  1. 아파트팔아먹을려고 대출한도 늘린거잖아 분수에맞게 아파트를 지어야지.단칸방에살아도결혼다하고 아기낳고잘살았는데 눈만높아져서…서민에맞게 집을지어야지 너무거품이다.

  2. 부동산투기가 무슨 대단한거라고 버블은 국민 전체가 참여하면, 정부에서 규제해야하는데. 생각은하고 정책을 짜야지, 집값은 많이 오를수록 미래에 리스크가 크다, 아직 한국은 투기 도박에서 못나오고 있지. 적당히 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