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1인당 100만원 최고액 기록
파주·광명시는 10만원 보편지원 선택해
안성·포천시는 취약계층 대상 차등지원 검토

“우리 동네는 얼마나 주려나…”
설 명절을 앞두고 전국 곳곳에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소식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의 경우 지자체별로 1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 금액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면서 주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북 김제 50만원vs전남 영광 100만원…”설 전 지급”

이번에 지급하는 민생회복지원금의 경우 전남 영광군이 가장 큰 규모의 지원을 예고했다.
영광군은 지난 13일부터 1인당 100만 원의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을 설과 추석에 나눠 50만 원씩 2회 지급한다고 밝혔다. 특히, 전북 지역에서는 김제시가 1인당 50만 원으로 가장 높은 금액을 책정했다.
이와 함께, 강원 정선군도 1인당 30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정선군은 약 100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강원랜드 주식 배당금으로 조달할 예정이다.
수도권 “보편이냐 차등이냐” 고심

다만, 경기도 내 지자체들은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의 지원 방식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먼저, 파주시와 광명시는 모든 주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보편 지원’을 선택했다.
파주시는 21일부터 신청을 받을 예정이며, 신청 첫 주에는 생년월일 끝자리 기준 4부제를 실시한다. 21일은 1·6년생, 22일은 2·7년생, 23일은 3·8년생, 24일은 4·9년생과 5·0년생 순이다.
“선별 지원이 더 효과적”…안성·포천 차등지원 검토

반면, 안성시와 포천시는 ‘차등 지원’을 선택했다. 안성시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6,700여 가구에 1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포천시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차등 지원을 검토 중이다.
예산 규모도 크게 차이난다. 파주시와 광명시가 각각 520억 원, 280억 원을 투입하는 반면, 안성시의 지원 예산은 6억 7천만 원 수준이다.
이는 보편 지원에 대한 예산 낭비 우려가 제기되면서 일부 지자체들이 선별 지원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분석이다.

한편, 각 지자체는 대부분 지역화폐로 지원금을 지급할 방침이며, 사용 기한도 정해져 있다. 광명시는 4월 30일까지, 파주시는 6월 30일까지로 제한했으며 미사용 금액은 자동으로 소멸된다.
경기안산은 왜 소식읎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