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비? 한국인들이 대신 내줬지” 직장인들 허탈…최근 근황보니 ‘대반전’

댓글 23

‘건보 먹튀’ 논란에 7,805억 적자…피해는 국민 몫
피부양자 제도 틈 타 혜택만 챙긴 외국인들
6개월 거주 요건 도입 후, 재정수지 반전 성공
외국인 건강보험 개정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성실하게 낸 내 보험료가 엉뚱한 곳으로 새고 있다는 허탈감은 많은 직장인의 분노를 샀다.

보험료는 거의 내지 않고 고액의 치료만 받은 뒤 출국하는 이른바 ‘건보 먹튀’ 논란은 한국 사회의 뜨거운 감자였다.

이 문제의 핵심에는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일부 외국인 가입자들이 있었다. 그 실태는 수치로 확인할수록 더욱 심각했다.

“이름만 올리면 OK”…외국인 가족도 혜택, 국민만 ‘봉’

가장 큰 구멍은 ‘피부양자’ 등록 제도였다. 이는 직장가입자에게 등록된 가족이 보험료를 따로 내지 않고도 같은 혜택을 누리는 제도이다.

외국인 건강보험 개정
출처 : 연합뉴스

당시에는 해외에 사는 외국인 직장가입자의 부모나 형제도 별다른 제약 없이 피부양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이들은 치료가 필요할 때만 잠시 한국에 들어와 고가의 의료 혜택을 받고 본국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반복했고, 그 비용은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으로 남았다.

그 결과는 참담했다. 특히 2017년부터 2019년까지는 매년 1천억 원에 가까운 적자가 발생했고, 이후에도 손실은 계속됐다. 2022년에는 229억 원, 2023년에는 27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재정수지(財政收支)란 보험료로 들어온 돈(수입)에서 진료비로 나간 돈(지출)을 뺀 성적표와 같다. 이 성적표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 것은 낸 돈보다 타 간 혜택이 훨씬 많았다는 의미다.

외국인 건강보험 개정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반복된 적자 상황은 건강보험 제도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절실히 드러냈다.

“6개월은 살아야 혜택”…건보 무임승차, 법으로 봉쇄

결국 정부는 칼을 빼 들었다. 2023년 12월, 외국인이 피부양자 자격을 얻으려면 최소 6개월 이상 국내에 거주해야 한다는 내용의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

그리고 1년이 넘는 준비 기간을 거쳐, 이 법안은 지난해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단기간 입국해 혜택만 챙기는 경로를 원천 차단하게 되었다.

이 조치는 즉각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과거 수백억 원대 적자를 냈던 중국인 대상 재정수지는 제도 개편 이후 55억 원 흑자로 돌아섰다. 상전벽해 수준의 변화다.

외국인 건강보험 개정
출처 : 연합뉴스

더 나아가 지난해 전체 외국인 대상 건강보험 재정수지는 9,439억 원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흑자 폭이 더 커졌다.

이번 개편의 목표는 외국인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다. 내국인과 동등한 책임과 의무 위에서 공정하게 제도를 운영하자는 것이다.

최소한의 기여, 명확한 기준, 투명한 운영이라는 원칙이 바로 설 때 건강보험 제도는 비로소 신뢰를 회복하고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때 불신의 상징이었던 외국인 건강보험이 이제 막 신뢰 회복의 첫발을 떼었다. 이 변화가 지속적인 제도의 정착으로 이어질지, 모두가 주목하고 있다.

23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3

  1. 중국의 부정선거 은혜입어 당선된 좌익 뺄갱이 친중매국정권이 국민을 농락하고 피를 빨아 상전에 갖다받치는 저런 매국행위를 자행했다.매국노는 사형으로 처단해야 한다.

    응답
  2. 외국인 혜택 재점검해야합니다
    외국인직장에서 고참이라고 한국인에게 교묘하게괴롭히고 갑질합니다 직장실태조사필요

    응답
  3. 국민이 내는 세금을 무서워할줄 알아야한다 철저히 감독해서 돈세는걸 막아야 합니다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