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의 77%가
독립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 사는 ‘캥거루족’
쇼츠, 릴스 등 ‘도파민 중독’과의 연관성도 제기돼
2030 MZ 세대의 77%가 독립하지 않고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캥거루족’인 것으로 드러났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MZ 세대 1903명을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7%는 “부모님께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응답자의 56%는 독립하지 못한 이유로 “안정적인 수입의 부재”를 꼽았다. 그 외의 응답은 “생활비 부담” 17%, “독립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13%,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어려움” 7%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의 87%는 “추후 여건이 되면 독립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독립을 생각하는 시기는 “취업 직후”가 53%로 가장 많았다. 취업 1~3년 후에 독립하겠다는 응답은 28%, 취업 3~5년 후에 독립하겠다는 응답은 13%였다. 결혼할 때까지 독립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6%로 나타났다.
즉 젊은 청년 다수가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취업 후 독립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년들의 독립 의지가 부족해서 캥거루족이 된다기보다는, 취업이 쉽지 않고 수입이 안정적이지 않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요즘 MZ 세대를 괴롭히고 있는 것은 취업난뿐만이 아니다. 많은 2030 청년들이 일명 ‘도파민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
도파민은 쾌락을 느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의 한 종류이다. 도파민이 적당히 분비되면 행복감을 느낄 수 있지만, 지나치게 많이 분비될 경우 우울감, 불안감, 과잉행동, 운동능력 저하 등 뇌기능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MZ 세대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상당히 높다. 이들은 인스타그램 릴스나 유튜브 쇼츠 등 영상 길이가 1분을 넘어가지 않는 ‘숏폼’ 콘텐츠에 무분별하게 노출되어 있다.
릴스와 쇼츠는 ‘무한 스크롤’ 방식이기에 스크롤을 내리기만 하면 곧바로 다음 영상이 재생된다. 해당 영상들은 ‘알고리즘’을 통해 엄선된, 유저의 취향과 성향에 잘 맞는 영상이므로 자기도 모르게 계속 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새로운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만큼, 뇌에서는 도파민이 다량 생성되기 때문에 한번 숏폼 콘텐츠를 보기 시작하면 쉽게 끊어낼 수가 없다. 점점 ‘도파민 중독’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이다.
사실 ‘도파민 중독’은 의학적으로 존재하는 개념은 아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자극적인 콘텐츠를 계속해서 찾아다니는 일이 ‘중독’이나 다를 바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자기 전 침대에 누워서, 혹은 심심할 때 잠깐씩 쇼츠나 릴스를 보는 것이 하루의 루틴 중 하나라는 사람도 있다. 그중에는 쇼츠와 릴스를 보다가 밤을 새우기 일쑤라는 이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성인이 된 뒤에도 부모에게 의존하며 아르바이트로 생활비 정도만 근근이 벌어 살아가는 청년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MZ 세대의 이러한 집단적 무기력이 도파민 중독 탓 아니냐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휴대폰 사용 시간 추적 앱 등을 설치하여 하루에 스마트폰 사용을 얼마나 하는지 파악하고, 사용 시간을 줄이기 위해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