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리, 이거 봤어요?” 직장인들 단톡방 난리…”20년 만에 이런 날이 올 줄이야”

댓글 8

금요일은 반나절, 월급은 그대로…‘주 4.5일제’ 실험
영국·일본선 생산성↑·이직률↓…성과로 증명
인건비 부담은 현실…일터 체질개선이 관건
주 4.5일제 근무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단체 채팅방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발단은 이재명 대통령이 던진 ‘주 4.5일제’라는 한마디다.

“이거 진짜야?”, “우리 회사도 가능할까?” 기대와 의심이 뒤섞인 메시지가 쉴 새 없이 오가며, 관련 뉴스 링크가 쉼 없이 공유된다.

덜 일하고도 같은 월급” 주 4.5일제 실험대 오른 한국

20년 전, 대한민국은 ‘토요일 출근’이 당연했던 주 6일제에서 주 5일제로 전환했다. 당시 경제계는 “생산성이 추락하고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며 격렬히 반대했다.

그러나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근로자의 삶의 질은 향상됐고, 늘어난 여가 시간은 내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로부터 20년, 한국은 또 한 번 근무제도 혁신의 갈림길에 섰다.

주 4.5일제 근무
출처 : 연합뉴스

주 4.5일제의 핵심은 이렇다. ‘일은 덜, 임금은 그대로’다. 주당 근로시간을 40시간에서 36시간으로 단축하되, 임금은 깎지 않는다는 파격적인 구상이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8시간씩, 금요일은 4시간만 일하고 퇴근하는 식이다. 정부는 대기업과 공공기관에서 먼저 시작해 중소기업으로 점진적으로 넓히며, 도입 기업에는 세금 감면 혜택도 약속했다.

해외 성공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2022년 영국 61개 기업의 주 4일제 실험 결과, 이직률은 57%, 병가는 65% 급감했다. 매출은 오히려 1.4% 증가했고, 참여 기업의 92%가 제도를 유지했다.

아이슬란드는 주 36시간 근무로 생산성을 높였으며, 일본 마이크로소프트는 금요일 휴무로 생산성을 40% 끌어올렸다.

“줄어든 시간, 높아진 집중”…인건비 넘어 인재로 보상받는다

주 4.5일제 근무
출처 : 연합뉴스

물론 한국 현실은 만만치 않다. 근로시간이 줄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은 11% 이상 늘어난다.

특히 중소기업과 제조업의 시름은 깊다. 공장 라인을 멈출 수 없는 제조업 특성상, 근무시간 단축이 곧바로 생산량 증대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하루 100개 만들던 것을 어떻게 갑자기 120개 만드냐”는 현장의 볼멘소리는 결코 허투루 들을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관점을 바꾸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충분한 휴식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다.

주 4.5일제 근무
출처 : 연합뉴스

잘 쉰 직원의 높은 집중력이 더 나은 성과를 만든다는 것은 해외 사례가 증명한다. 이직이 줄면 채용과 교육 비용을 아끼고, 근무일이 줄면 사무실 운영비도 절감된다.

무엇보다 ‘워라밸 보장 회사’라는 이미지는 미래 핵심 인재를 끌어들이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20년 전 주 5일제처럼…또 한 번의 도전 앞에 선 대한민국

결국 모든 질문은 ‘생산성’으로 귀결된다. 늘어나는 인건비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일의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가. 이것이 주 4.5일제 성공의 열쇠다.

이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회의와 형식적 보고 문화를 없애고, 단순 반복 업무는 자동화로 대체하는 전사적 혁신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주 4.5일제 근무
출처 : 연합뉴스

20년 전 주 5일제가 그랬던 것처럼, 지금 우리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역사의 변곡점에 서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주 4.5일제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담대한 도전이다.

우리는 지금 새로운 가능성의 문 앞에 서 있다. 그 문을 열고 새로운 시대로 나아갈 것인가. 이제 우리 사회 전체의 준비와 선택에 모든 것이 달려있다.

8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8

  1. 내나이60
    놀고먹는다고 행복이야?
    일할때일해야 미래가 있는거야
    지금은 룰루랄라 좋겠지
    너희들 자식때는 무엇으로 살게할려구….

    응답
  2. AI 시대와 공장자동화(로봇) 활용해서
    7일내내 일하게 해.
    주 3일-4일 일하는 노동자를 최소화 하면 되지.
    변화를 두려워하면 안되지.

    응답
  3. 산업화시기에노동자들제대로대우못받고일했던시기도있었다.이제삶의질을개선할때다.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