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시즌 앞두고 관광세 폭탄 현실화
입장료 최대 2.5배 인상에 숙박세도
“호구 취급하나” 한국인들 여행 거부감

“관광객이 많아서 규제한다더니, 돈은 더 많이 받겠다고?” 일본의 이중적인 관광 정책에 한국인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지난 19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이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을 명분으로 내세우면서도 관광세와 입장료를 대폭 인상하는 등 돈벌이에만 혈안이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벚꽃 시즌 앞두고 드러난 일본의 ‘돈벌이 본색’

효고현 히메지시가 내년 3월부터 히메지성 입장료를 현행 1000엔(한화 약 9500원)에서 2500엔(한화 약 2만4000원)으로 150% 인상하기로 했다.
특히, 이번 인상안은 히메지 시민이 아닌 외국인과 외지인에게만 적용된다. 히메지 시민의 입장료는 기존 1000엔(한화 약 9500원)을 유지한다.
당초 시 당국은 외국인 입장료를 4~6배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시의회가 “너무 비싸다”며 반대하자 2.5배로 수정했다.

일본의 대표적인 벚꽃 명소인 오사카성도 4월부터 입장료를 600엔(한화 약 5700원)에서 1200엔(한화 약 1만 1500원)으로 2배 올리기로 했으며, 나가노현의 마쓰모토성도 같은 시기에 입장료 인상을 예고했다.
숙박세도 기습 인상…교토는 최대 10배

숙박세를 통한 관광세 징수도 급증하고 있다. 2023년 9곳이었던 숙박세 징수 지자체가 올해는 25곳으로 늘었다.
특히, 교토시는 현행 1박당 최대 1000엔(한화 약 9500원)인 숙박세를 최대 1만엔(한화 약 9만 5000원)까지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교토시는 5단계 누진방식을 도입해 1박 숙박료가 10만엔(한화 약 95만원)을 넘는 고급 숙소의 경우 1만엔(한화 약 9만 5000원)의 숙박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는 현행의 10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과잉관광 핑계로 돈벌이”…소비자 불만 고조

불과 1~2년 전만 해도 동남아 여행과 비슷했던 일본행 패키지 가격이 이제는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교통비, 숙박비, 입장료 등 모든 분야에서 가격이 크게 올랐지만, 정작 일본은 관광객들을 환경 훼손의 주범으로 몰아세우고 있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이런 때 일본 여행 가는 사람은 호구”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단순한 수요와 공급의 논리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과잉관광 대책이라는 명분 아래 외국인에게만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정책에 불만이 쌓이고 있는 것이다.
여행객 주의해야 할 ‘바가지 요금’도 급증

한편, 관광세와 숙박세 인상 외에도 일본 여행 시 주의해야 할 바가지 요금이 늘고 있다.
신주쿠 카부키초 지역의 일부 술집이나 무허가 택시의 바가지 요금, 불리한 환율을 적용하는 환전소 등 관광객을 노리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레스토랑이나 바 방문 전 가격 확인, 공식 택시 이용, 정식 환전소 사용 등을 권장한다.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즉시 경찰(110번)이나 Japan Visitor Hotline에 연락해 도움을 받을 것을 조언하고 있다.
그래도 양심적이다.
쟤넨 외국인한테 바가지 씌우겠다고 당당하게 말이라도 하지 어디 제주도 부산 이런 데 가면 다 이렇게 하는 거라고 같은 한국인까지 바가지 씌우고 벗겨먹을 생각만 하잖아 ㅋㅋ
외지인까지 다 올린다는거잖아 그냥 가격올리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