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줄고, 생산은 흔들려
‘트럼프 관세’에 자동차 업계 긴장
유럽선 반전…캐스퍼가 이끈 희망

지난달, 미국의 25% 관세 부과와 전기차 수요 정체 여파가 맞물리며 현대차의 대미 수출이 급감한 가운데, 국내 생산도 흔들리고 있다.
반면 유럽 시장에서는 소형 전기 SUV ‘캐스퍼 일렉트릭’이 기록적인 판매를 올리며 반전을 꾀하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가 처한 복합적인 위기와 기회가 동시에 드러난 셈이다.
‘트럼프 관세’ 현실화…미국 수출 급감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자동차 수출액은 65억3천만달러(한화 약 8조9700억원)로 작년 같은 달보다 3.8% 감소했다.
수출 물량도 24만6천924대로 8.8% 줄었다. 특히 미국으로의 수출은 큰 폭으로 감소해, 4월 기준 28억9천만달러(한화 약 3조9700억원)로 전년 대비 19.6% 감소했으며 올해 1∼4월 누적 수출도 13.6% 줄었다.
이러한 급감의 원인으로는 미국이 지난달 3일부터 시행한 25% 품목 관세가 꼽힌다. 산업부는 “대미 수출은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된 데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면서 수출 의존도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4월 미국 내 판매량이 8만1천503대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증가세는 조지아 공장에서 본격 생산된 아이오닉5, EV6, EV9 등이 현지에 직접 공급되며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관세 부과 전 차량을 미리 구매하려는 수요 증가와, 가격 인상 없이 판매를 지속한 점이 주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유럽에서 살아난 희망…‘캐스퍼 일렉트릭’의 약진

국내 전기차 수요가 둔화되는 와중에도 현대차는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전기차 수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소형 전기 SUV ‘캐스퍼 일렉트릭’은 ‘인스터’라는 이름으로 유럽에서 인기몰이를 하며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현대차에 따르면, 캐스퍼 일렉트릭은 1월 유럽에서 868대를 판매한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며 4월에는 2천446대 판매를 기록, 월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누적 수출량은 같은 기간 국내 판매량의 약 5배에 달하는 1만5천829대였다.
캐스퍼 일렉트릭은 WLTP 기준으로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 370km를 확보하고 있으며, 보조금 적용 시 실구매가가 3천만원대에 형성된 것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어필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현대차는 아웃도어 감성을 반영한 ‘캐스퍼 일렉트릭 크로스’도 새롭게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 확장에도 나서고 있어 당분간은 이러한 흐름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전략이 유럽 내 소형 전기차 수요와 맞물리며 현대차가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친환경차 수출·내수 ‘엇갈린 흐름’

전기차 수출이 감소세를 보인 반면, 하이브리드차는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
4월 친환경차 수출은 총 7만3천697대로 작년보다 1.4% 증가했으며 이 중 전기차 수출은 2만1천171대로 12.5% 감소한 반면, 하이브리드차는 4만6천627대로 9.5% 증가했다.
국내 시장에서도 친환경차는 강세를 보였다. 내수 판매는 6만9천731대로 34.9% 증가했으며,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는 각각 29.9%, 50.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다만 전체 자동차 생산은 2.2% 감소한 38만5천621대로 집계됐다.

한편 미국발 관세 충격과 글로벌 수요 정체 속에서도 현대차는 유럽을 중심으로 새로운 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대미 수출 급감과 국내 생산 둔화라는 이중고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다.
내수는 3교대를 못하니 해외공장을 8 시간씩 3교대로 전환하는게 어떨까요?
차좀 싸게좀 팔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