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노사 공동 안전 선언’ 전격 발표
SPC·포스코 사망사고에 기업들 비상등
대통령 ‘면허 취소’ 경고에 생존전략 급전환

기아가 경기도 오토랜드 광명에서 ‘노사 공동 안전보건 선언식’을 열고 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잇따라 발생한 중대재해와 정부의 강력한 대응 기조 속에서 나온 이 행보는, 선언 그 이상의 변화 의지를 드러낸다.
대기업 경영진이 안전 문제를 ‘경영 리스크’ 수준이 아닌 ‘존립의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주목받는다.
사고가 잇따르자 꺼낸 카드, ‘면허 취소’ 지시까지
2025년 상반기, 산업 현장은 연이은 비극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

지난 5월, 경기도 시흥의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불과 3년 전 평택 공장에서 유사한 사고를 겪었던 SPC는, 안전 조치에 대한 불신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사고 직후 현장을 찾은 이재명 대통령은 “목숨값이 300만원이냐”고 강하게 질책하며, 기업 경영진을 직접 압박하는 이례적인 행보를 보였다.
뒤이어 7~8월, 포스코이앤씨에서만 네 건 이상의 사망사고가 잇달아 발생했다.

경남 의령의 천공기 끼임 사고부터 광명~서울 고속도로 공사 현장의 감전 사고까지, 사건은 연달아 벌어졌다.
결국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건설 면허 취소까지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처벌의 차원을 넘어, 기업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조치였다.
기아가 먼저 움직인 이유… 이제 ‘안전’은 생존 전략이다
이러한 흐름은 대기업들에게 강한 메시지를 남겼다. 과거에는 중대재해가 발생해도 과징금이나 CEO 교체 정도로 수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한 건의 사고가 여론 악화와 브랜드 훼손, 더 나아가 정부의 정조준 대상이 되는 길로 이어질 수 있다. 사고를 미리 막는 것이, 그 어떤 경영 전략보다도 현실적이고 절박한 과제가 된 셈이다.

기아는 국내 3개 생산거점에서 일하는 3만 5천여 명의 인력을 대상으로, AI 경고 시스템 도입, 산업용 착용 로봇 활용, 냉방 설비 강화, 협력사 맞춤형 안전 프로그램 운영 등 다방면의 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과거 선택의 영역이었던 산업안전이, 이제는 전사적 역량을 투입해야 할 필수 생존 전략으로 바뀐 것이다.
특히 노사가 공동으로 선언에 참여했다는 점은, 현장의 지속성과 실행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중대재해를 바라보는 사회의 기준은 이미 달라졌다. 처벌을 넘어, 실질적 변화와 예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더 이상 시간을 미룰 수 없다. 지금의 안일한 대처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대갈통이 텅빈 대통령ㅋㅋ 대기업들다 나가고 나면 노동자들에게 사비털어서 월급주려나 꿍쳐둔돈 겁나 만응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