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완전 철수”…소리소문없이 사라진 제네시스 ‘발칵’

세단 외면한 美 시장, G80 전동화 판매 부진
트럼프發 15% 관세에 가격 경쟁력도 흔들
제네시스, 전기 SUV 중심 전략 수정 나서
제네시스 G80 전동화 단종
출처 : 연합뉴스

제네시스의 대표 전기 세단인 G80 전동화 모델이 2025년형부터 미국 시장에서 자취를 감춘다. 조용히 홈페이지에서 삭제된 뒤, 브랜드 측이 정식으로 단종을 인정했다.

전용 플랫폼이 아닌 기존 내연기관 차량을 개조해 만든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상품성에서는 호평을 받았던 차량이다. 그럼에도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전기 세단? 안 팔려요”…미국 소비자 외면한 G80의 현실

가장 큰 요인은 소비자의 선택에 있었다. 미국 시장에서 세단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특히 크고 비싼 전기 세단에 대한 수요는 더욱 희미하다.

G80의 내연기관 모델조차 지난해 4천 대 남짓 판매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기 모델은 훨씬 적은 숫자였을 가능성이 높다. 브랜드 입장에서도 이런 시장 흐름을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제네시스 G80 전동화 단종
출처 : 연합뉴스

여기에 영향을 미친 결정적 변수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무역 협상 결과,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 15%의 관세가 공식적으로 부과되기 시작했다.

G80 전동화 모델은 전량 한국에서 생산돼 수출되기 때문에, 이 조치는 가격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G80 전동화 모델은 전량 한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이 같은 조치가 현실화된다면 미국 내 판매가는 치명적으로 높아진다. 판매 부진에 가격 경쟁력 상실까지 겹치면, 단종은 이미 예고된 수순이었는지도 모른다.

G80 대신 SUV…제네시스가 선택한 생존 전략

여기에 전기차 시장 자체의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 소비자들의 구매 속도는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제네시스 G80 전동화 단종
출처 : 연합뉴스

충전 인프라 부족과 높은 가격대, 그리고 여전히 남아있는 배터리 수명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시장은 성장 둔화 신호를 보이고 있다.

브랜드로서는 모든 자원을 모든 차종에 똑같이 분산하기보다는, 실제 수요가 있는 영역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제네시스는 G80 전동화 모델 대신 GV60과 GV70 전동화 SUV 모델을 중심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두 모델 모두 SUV 형태로, 미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보다 적합하다는 평가다. 또한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만큼, 상품성과 효율성 면에서도 브랜드 전략에 부합한다.

조용히 사라진 G80 전동화…남은 건 불확실한 미래

제네시스 G80 전동화 단종
출처 : 연합뉴스

아직 일부 딜러에서는 G80 전동화 모델의 재고가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추가 생산이나 미국 내 재출시는 계획에 없다.

오는 2026년에는 롱휠베이스 기반의 새 G80 전동화 모델이 등장할 예정이지만, 이 역시 미국 시장에 투입될지는 미지수다.

시장에서 사라진 모델의 이면에는 수많은 변수와 선택이 얽혀 있다. 제네시스 G80 전동화의 퇴장도 그 하나다.

소비자의 선택, 정치적 변수, 시장 흐름, 브랜드 전략이 맞물리며 하나의 모델이 조용히 퇴장하는 지금, 전기차 시장의 판도 역시 새롭게 바뀌고 있다. 향후 추이를 면밀히 지켜봐야 할 때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