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터로만 1조 수익
해군, 육군으로 기술 확대
세계 시장 44조 성장 전망

한국의 군용 항공기 수출 증대 이면에는 조종 시뮬레이터가 숨은 공신으로 자리하고 있다.
조종 시뮬레이터는 항공기와 95% 이상 유사해 실제 비행이 어려운 상황에서 조종사의 훈련을 도울 수 있는 체계이다.
한국은 T-50과 FA-50, 수리온 헬기 등을 수출하는 과정에서 전용 시뮬레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KAI가 시뮬레이터 수출로 거둔 매출은 1조3,000억 원 수준이다.
한편 시뮬레이터 분야의 세계 시장 1위는 캐나다의 CAE가 차지하고 있으며, CAE는 약 70%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63개 시뮬레이터 납품으로 1조 이상 매출

KAI는 현재까지 총 7개국, 29개 기지에 63개의 시뮬레이터를 납품하였다.
KAI는 페루에 KT-1 훈련기를 납품하는 과정에서 본격적인 시뮬레이터 수출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이라크가 구매한 수리온 헬기에도 시뮬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등 지금까지 KAI가 시뮬레이터 수출로 거둔 매출은 1조3,000억 원에 달한다.
방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전투기 30대를 구매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3대의 시뮬레이터를 요구하고 있으며, 훈련 장비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최신 시뮬레이터 기술을 유지하는 것이 향후 수출 경쟁력 확보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에서 해군, 육군으로 시뮬레이터 확대 시도

한국은 시뮬레이터 분야를 전투기뿐만 아니라 육군과 해군의 무기 체계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
해군은 지난 2월부터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를 도입하였다. 고속상륙정은 병력, 물자, 장비 등을 탑재하고 시속 70km 이상의 고속 항해가 가능해 승조원들의 고난도 조종 능력을 요구한다.
해군이 도입한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는 파도 등의 해상 환경을 고려한 함 운동 역학 자체 개발 및 모션시스템 적용을 통해 실전과 같은 훈련이 가능해 한국군의 전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한국은 잠수함 조종 훈련 장비도 운용 중이며, 소형 무장헬기 미르온용 시뮬레이터도 개발하고 있어 전투기 이외에도 다양한 무기 체계에 시뮬레이터가 도입될 전망이다.
시뮬레이터 세계 시장 44조 원까지 커질 전망

포춘 비즈니스에 따르면 전 세계 시뮬레이터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27조 원 규모에서 2032년까지 약 44조 원으로 성장할 것이라 예측된다.
미국의 대표적인 전투기 제조사인 록히드마틴이나 보잉, 유럽의 방산업체도 전투기와 함께 시뮬레이터를 판매하고 있으며, 전투기 시장이 커지면서 시뮬레이터 판매 경쟁도 그만큼 치열해지고 있다.
KAI는 국제 방산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을 접목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AI를 활용한 시뮬레이터는 조종사의 행동을 바로 분석해 평가하여 훈련에 반영할 수 있으며, 여기에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결합한 훈련 체계도 개발하고 있다.
외상주나 어이되노 디게비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