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하락에 일본 여행 꿈도 접어야 할 판”
100엔당 1천원 선에 근접한 원/엔 환율
일본은 관광세 더 늘리는데 한국은 오히려 감면

“2개월 전에 일본 여행 예약했는데, 그때 환전을 미리 해둘 걸 그랬어요.” 최근 일본 여행을 계획 중이던 김모씨(32)의 말이다.
원화 약세와 엔화 강세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원/엔 환율이 약 2년 만에 1천원 선에 육박했다. 작년 7월 850원대였던 환율이 불과 몇 달 만에 100원 가까이 급등한 것이다.
이에 한국인들이 우르르 몰려갔던 일본 여행길이 환율 급등으로 여행 경비가 20% 이상 늘어나게 되면서 발걸음을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원/엔 환율 2년 만에 최고치, 무슨 일이?

지난 11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엔 재정환율은 거래 마감 무렵 989.85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5월 이후 1년 10개월 만의 최고치다. 이날 오전에는 995.09원까지 치솟기도 했는데, 이는 2023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증시 급락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안전자산인 엔화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며 “미국 주가가 하락할 때는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가격이 상승하면서 달러가 하락 압력을 받고 상대적으로 엔화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경기 침체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고율의 관세 정책 강행을 시사하면서 시장 불안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일에는 과도기가 있다. 우리가 하는 것은 부를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는 큰일이며 성과를 만드는 것은 시간이 조금 걸린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국발 관세 위협에서 일본은 상대적으로 벗어나 있지만 한국은 취약하다는 점도 원/엔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이 통화 가치에 반영된 것이다.
일본 관광세 확대 정책 추진

환율 상승으로 한국인들의 일본 여행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일본은 관광세를 더 늘리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올해 상반기 내에 관광 세금을 최대 10배까지 증액할 계획이다.
일본은 2019년부터 모든 출국 관광객에게 1000엔(한화 약 1만원)의 ‘관광세’를 부과하고 있다. 또한 도쿄, 오사카, 교토 등 10개 대도시에서는 숙박세를 도입해 1인 1박당 100엔~2000엔(한화 약 1천원~2만원)까지 부과하고 있다.
특히 오사카와 교토는 올해 상반기 내에 숙박세를 두 배가량 늘릴 예정인데, 만약 교토에서 5만 엔(한화 약 49만 원) 이상의 숙소에 묵는다면 1박당 1인에 약 4만 원의 세금을 내야 한다. 두 명이면 8만 원에 달하는 세금을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일본과 달리 감면 정책 펼치는 한국

반면 한국은 유일한 관광 관련 세금인 ‘출국 납부 부담금’을 오히려 인하했다. 정부는 지난해 7월부터 출국납부금을 1만 원에서 7천원으로 3천원 낮추고, 면제 대상도 2세 미만에서 12세 미만으로 확대했다.
관광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지난해 해외 출국자 수(2869만 명)는 방한객(1637만 명)의 두 배에 육박하며, 관광수지 적자도 계속 늘고 있다. 이미 지난해 11월 기준 관광수지는 102억 달러(한화 14조 81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일본의 경우, 관광세 도입 이후에도 방문객은 계속 증가했다. 2024년 방일 외래객 수는 3686만 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쿄와 교토는 지난해에만 각각 47억 엔(한화 약 461억원) 이상의 숙박세를 거둬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세금 감면은 정부가 강조하는 ‘외래객 2000만 명’이라는 양적 성장을 이루는 데 능사가 아니며, 우리 실정에 맞는 관광세를 현실화하고, 이를 통해 관광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을 고민해봐야 한다.
이에 관광산업 전문가들은 이제 단순히 출국납부금을 3000원 깎아주는 정책보다는, 일본처럼 관광세를 통해 관광 환경 개선과 인프라 정비에 투자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일본 분수도 모르고 마구 올리네. 그러다 관광마저 끊기면 일본은 망하는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