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뚝 끊기더니 “여기선 분위기 달랐다”… 한국 부동산 시장 ‘놀라운 변화’

고강도 대출 규제 후 수요 급감
9억 이하 저가 아파트에 몰려
지방은 규제 제외돼 ‘활기’
부동산
저가 아파트 인기 / 출처: 연합뉴스

정부의 6·27 대출 규제가 단행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의 지각변동이 뚜렷해지고 있다.

한때 과열됐던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중고가 아파트 매수자들이 일제히 등을 돌린 반면, 대출 규제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저가 아파트와 지방 시장으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포착됐다.

6억 한도의 벽, 저가 아파트로 수요 몰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출 규제 이후 43일(6월 28∼8월 10일)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유효 거래량은 총 4,646건으로, 이 중 9억 원 이하 거래가 49.5%(2,052건)를 차지했다.

부동산
저가 아파트 인기 / 출처: 연합뉴스

규제 직전 43일간 9억 원 이하 거래 비중이 37.7%(5,473건)였던 것과 비교해 비중이 11.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6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14.7%에서 규제 후 22.8%로 8.1%포인트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 원으로 제한되면서 LTV(주택담보대출비율) 70%를 적용받는 지역에서는 집값 9억 원까지가 대출 한도를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됐다.

High-income loan delinquency rate (3)
저가 아파트 인기 / 출처: 연합뉴스

여기에 7월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도 소득 대비 대출 한도를 감소시켜 저가 아파트 선호 현상을 더욱 강화했다.

중고가 아파트 시장 ‘빙하기’, 강남·마포·성동구 직격탄

반면 9억 원 초과 아파트 시장은 급격히 냉각됐다. 9억 원 초과∼15억 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34.7%에서 28.6%로 6%포인트 감소했고, 15억 원 초과∼30억 원 이하 구간은 23.0%에서 15.6%로 무려 7.4%포인트 줄어들었다.

이 가격대는 주로 강남권 소형 아파트나 마포·성동구 등 인기지역 중대형 아파트로, 이번 대출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부동산
저가 아파트 인기 / 출처: 연합뉴스

15억∼30억 원대 아파트가 밀집한 성동구는 거래가 88.6%(809건→92건) 줄었고, 마포구도 84.5%(704건→109건) 감소했다.

반면 9억 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강북구(54% 감소), 도봉구(58% 감소), 노원구(66.1% 감소) 등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었다.

규제 사각지대 지방 부동산, ‘풍선효과’ 뚜렷

서울 아파트 시장이 얼어붙는 동안, 대출 규제에서 제외된 지방 부동산 시장은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부산 미래산업 대전환
저가 아파트 인기 / 출처: 연합뉴스

6·27 고강도 대출 규제에서 제외되고 정부가 스트레스 DSR 3단계 적용을 지방은 연말까지 유예하면서 부산, 대구, 광주 등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거래가 활발해지는 반등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부산 해운대구 ‘경동리인뷰 1차’ 전용 84㎡는 최근 10억 7,000만 원에 거래되며 직전보다 1억 500만 원이나 올랐고, 광주 북구 ‘운암 롯데캐슬’ 전용 122㎡는 7,200만원 상승한 4억 6,500만 원에 거래됐다.

KB부동산의 매수우위지수에 따르면 5대 광역시의 수요지표는 5월 16.33에서 6월 21.35, 7월 21.77로 석 달 연속 상승세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주택시장에 가해진 강력한 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 문턱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지방 시장으로 수요가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규제가 만든 새로운 시장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부동산 시장의 지형도는 계속해서 변화할 전망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