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한미 자동차 관세 협상 지연으로 업계 손실 지속
- 국내 자동차 업계 매일 수십억 원 관세 부담
- 관세 인하 시점이 한국에 불리할 가능성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자동차 관세 인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 관세 인하 지연으로 국내 자동차 업계가 매일 큰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 3분기 동안 현대차와 기아의 실적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 관세 인하 적용 시점이 불리하게 설정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자동차 관세 인하가 합의되었지만, 지연으로 인해 국내 자동차 업계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관세 인하가 지연되면서 매일 수십억 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3분기 실적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업계는 관세 인하 적용 시점이 한국에 불리하게 설정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로 인해 재정적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 현대차와 기아는 3분기 동안 총 3조 550억 원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 관세 인하가 11월 1일자로 소급 적용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 관세가 15%로 인하되면 연간 3조 원 이상의 비용 절감이 예상됩니다.
- 하지만 15% 관세가 과거 FTA의 무관세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부담입니다.
한미 관세 협상 합의
공동 설명 자료 지연
수조 원대 비용 부담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 인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음에도 국내 자동차 업계는 여전히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협상 타결 발표 후 2주 가까이 지났지만, 최종 결과를 담은 공동 설명자료의 발표가 미뤄지면서 매일 수십억 원의 고율 관세 부담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눈앞의 비용 손실과 함께 관세 인하 적용 시점이 한국에 불리하게 설정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업계를 짓누른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대미 자동차 관세, 한국에 불리할까?
3분기 합산 3조 원대 손실, ‘고율 관세’ 직격탄
업계가 체감하는 고율 관세의 충격은 실적 수치로 고스란히 드러난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미국 정부가 부과한 25%의 고율 관세로 심각한 재정적 타격을 입었다.

지난 3분기에만 현대차와 기아가 관세 비용으로 합산 약 3조 55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영업 손실을 감내했다.
현대차는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9.2% 감소했고, 기아는 49.2% 급감하는 등 실적이 관세 폭탄의 직격탄을 맞았다.
국내 업계는 작년 한 해 미국에 143만 대가 넘는 차량을 수출했으며, 산술적으로 매일 4천 대 가까운 물량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는 상황이다. 관세 인하 시점이 하루라도 늦어질수록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기아 김승준 재경본부장은 3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11월 1일 자로 소급 적용되더라도 이미 재고분은 25% 관세를 납부했다”며 관세 부담이 4분기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고 내년에야 온전한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때문에 관세 폭탄 여파로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올해 4월부터 넉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며, 9월까지 누적 수출은 14.4% 감소한 바 있다.
관세 인하 적용 시점 ’11월 1일’ 관철 촉구
이처럼 막대한 손실이 계속되는 가운데, 업계의 불안감은 한미 정상회담 직후 이른 시일 내 발표될 예정이던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가 2주 가까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커진다.
당시 김용범 정책실장은 세부 합의 내용이 거의 마무리되었으며 팩트시트는 2~3일 안에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발표가 늦어지면서 국내 업계는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받는다.
특히 관세 인하 적용 시점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관련 법안이 제출되는 달의 1일로 소급 발효되도록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미국 측이 양해각서(MOU) 체결 시점으로 고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한미 자동차 관세 협상이 지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한미 자동차 관세 협상 지연은 공동 설명자료 발표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김용범 정책실장은 세부 합의가 거의 마무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 그러나 발표가 지연되면서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 관세 인하 적용 시점에 대한 협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대림대학교 김필수 교수는 “완성차업체 입장에서 하루하루가 매우 큰 손실”이라며, 관세 인하 시점을 11월 1일로 관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세 15% 시대, 새로운 경쟁 구도 돌입
적용 시점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서도, 관세 인하가 가져올 변화에 대한 전망은 이미 나오고 있다.
관세율이 25%에서 15%로 인하되면, 현대차 그룹의 연간 관세 비용은 3조 원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가는 현대차 그룹의 2026년 영업이익이 2조 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는 일본, 유럽연합(EU) 등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 수준(15%)이 적용됨으로써 한국산 자동차의 미국 시장 가격 경쟁력이 회복되는 긍정적 효과를 낳는다.

그러나 관세가 15%로 낮아지더라도 과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무관세 시대와 비교하면 여전히 수익성이 감소한다.
부품업계 역시 관세 인하에도 연간 1조 원가량의 영업이익 감소가 예상되는 등 구조적인 부담은 여전하다.
따라서 국내 완성차 업계는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공급망을 재편하는 중장기 전략을 강화하는 새로운 경쟁 국면에 돌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