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7만가구 돌파…5개월만에 증가세
대구·경북 준공후 미분양 전국 증가율의 3배
작년 대구 주택인허가 77% 급감…시장 위축

“지었는데 살 사람이 없다.” 준공된 아파트의 절반 가까이가 주인을 찾지 못하는 충격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 지역의 악성 미분양이 폭증하며 지역 부동산 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
10년만에 최대 ‘악성 미분양’ 쇼크

5일 국토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서 충격적인 수치가 드러났다. 준공 후에도 분양되지 못한 이른바 ‘악성 미분양’이 2만1480가구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2014년 7월(2만312가구)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73가구로 급증했다. 지난해 6월 7만4037가구까지 치솟았다가 7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하던 미분양이 12월 한 달 만에 5027가구(7.7%) 불어난 것이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6997가구로 전월보다 17.3%(2503가구) 늘었고, 지방은 5만3176가구로 5.0%(2524가구)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경기도에서만 2433가구가 증가해 1만2954가구를 기록했다.
대구·경북 악성 미분양의 진원지

대구·경북 지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12월 말 기준 8807가구로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다. 이는 전월 대비 632가구(7.7%) 증가한 수치다.
대구의 미분양은 지난해 7월 1만가구를 넘어선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11월 8175가구를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준공 후 미분양의 급증세다.
대구의 악성 미분양은 12월 한 달 사이 862가구(47.2%) 늘어난 2674가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7월 1778가구에서 10월 1579가구까지 줄어들었다가 11월부터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경북의 상황도 심각하다. 경북의 악성 미분양은 한 달 새 866가구(63.2%) 급증했다. 이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증가율(15.2%)의 4배에 달하는 수준이며 제주(30.5%)가 그 뒤를 이었다.
신규 공급도 급감…시장 위축 가속화

대구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신규 주택 공급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난해 대구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3227가구로 전년(1만4359가구) 대비 77.5% 급감했다. 특히 12월 한 달 인허가 실적은 더욱 충격적이다. 전년 동월 3351가구에서 단 10가구로 99.7%나 줄었다.
반면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12월에만 15만5123가구로 전년 동월(9만7481가구) 대비 59.1% 증가했다. 경북도 4539가구로 전년(1610가구) 대비 181.9% 늘어나 대구와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거래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12월 대구의 주택 매매 거래는 2095건으로 전월(2169건) 대비 3.4% 감소했다. 다만 전년 동월(1685건)과 비교하면 24.3% 증가했다. 반면 전월세 거래는 5961건으로 전월(5531건) 대비 7.8% 증가했다.

경북의 경우 매매 거래는 2646건으로 전월(2674건) 대비 1% 감소했고, 전월세 거래는 4523건으로 전월(4038건) 대비 1.8% 증가했다.
업계는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구·경북 지역의 과잉 공급이 미분양 사태를 키웠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악성 미분양의 증가는 건설사의 자금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 건희 독재자 나라를 두사람 놓이터로 생각해 바닥으로 떨어저 망처 놓은 나라가 아파트는 부동산도 예외는 아니군 자진해서 자갈을 물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