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폰으로 애플 추격하는 삼성
트럼프 관세 폭탄에 삼성 타격 우려
호조세 속 닥친 위기에 시장 촉각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이 미국 시장을 사로잡고 있지만, 기쁨도 잠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반도체 관세로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관세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삼성의 미국 시장 공략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미국시장에서 두각 나타낸 삼성의 폴더블폰
CNBC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 자료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지난 2분기에 31%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23%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다. 같은 기간 애플의 시장 점유율은 56%에서 49%로 하락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출하량 기준으로도 애플이 1330만 대로 11% 감소한 반면, 삼성은 830만대로 38% 증가했다.
특히 최근 출시된 갤럭시Z 폴드7은 미국 예약판매에서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플래그십 모델에서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CNBC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약진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을 상당 부분 받았지만, 애플에 비해 다양한 가격대와 형태의 제품군을 제공하는 역량을 반영한다”고 평가했다.
트럼프의 반도체 관세, 삼성에 리스크 될까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5일 앞으로 2주 내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상황이 바뀔 수 있다.
미 상무부는 현재 반도체에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여부를 조사 중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했다.
다행히 미국에 생산시설을 짓는 기업에는 면세 혜택을 준다는 방침이어서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시의 파운드리 공장과 내년 완공 예정인 테일러시 공장으로 일부 부담을 덜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 반도체를 탑재한 파생상품의 관세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박순철 삼성전자 CFO는 올 2분기 실적발표에서 “조사대상에 스마트폰·PC 등 완제품도 포함돼 당사의 사업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텍사스에 칩 공장을 보유한 삼성전자가 관세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삼성전자와 TSMC 모두 미국 내 투자로 관세 예외 적용이 유력하다”고 보도하며 이 같은 전망에 힘을 실었다.
애플의 맞대응과 시장 판도 변화

이러한 상황에 여전히 시장 주도권을 쥐고 있는 애플도 점유율 하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애플은 미국 내 투자금액을 6000억 달러로 늘려 관세 면제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내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통해 삼성의 강점 분야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JP모건의 사믹 채터지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내년 9월 아이폰 18 시리즈 중 하나로 삼성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와 유사한 폴더블 아이폰을 선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 정부의 관세 부과 방식과 면세 범위가 핵심쟁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시장에서의 폴더블폰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양사의 경쟁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