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명히 뉴스에서 875원이라고 했는데, 4천원이 넘어서 깜짝 놀랬어요”
“사과도 그렇고 물가가 왜 이렇게 계속 비싼지 모르겠어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방문했을 때 언급한 대파 가격에 대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유통 업계에서는 현재 대파 한 단의 도매 가격이 3300원이고, 대형 마트에서는 4250원에 판매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방문한 하나로마트에서는 대파를 875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격 설정이 가능했던 것은 해당 마트가 1인당 최대 5단까지 구매를 제한하며 1000단 한정 판매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당시 대형마트 권장 판매가에서 정부 지원금(산지 납품단가 지원) 2000원, 농협 자체 할인 1000원, 정부 할인(30%) 쿠폰 375원을 제외한 가격이 875원으로 설정되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대파 한 단에 875원이면 합리적인 가격 같다”고 평가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해당 마트는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 지원(15일) 전에는 농산물에 대해 20% 할인을 적용해 대파 한 단을 1000원에 판매하고 있었다”며 “정부와 유통업체의 할인이 확대 적용되어 소비자에게 더 낮은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방문 이후 시작된 대파 할인이 일부에서는 ‘보여주기식’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로, 해당 매장은 일주일 전인 11~13일에 진행된 할인 행사에서는 대파 한 단을 2760원에 판매했다.
대통령 방문 4일 전인 14일에는 가격을 1000원으로 인하했고, 방문 당일에는 875원으로 추가로 가격을 낮췄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세상 물정을 모른다”고 지적했다. 신현영 민주당 대변인은 “대파 한 단에 9000원, 배추 한 포기에 5000원이 넘는다”며 “국민이 느끼는 체감경기를 알면 다른 나라에 비해 물가 상승률이 낮다는 말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농협 하나로마트의 대파 가격은 18일에만 특별히 낮춘 것이 아니라”며 “최근 발표된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이 현장에서 점진적으로 반영된 결과”라고 밝혔다.
농협유통 관계자는 “정부 물가안정 지원금이 포함된 할인 행사는 대통령 방문과 무관하며, 21일부터 시작되는 다른 행사에서도 대파를 875원에 판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달 과일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급등했다.
이상 기후, 지방 소멸, 수입 규제 등으로 인해 농산물 및 과일 가격이 크게 올랐다. 특히 국민 과일인 사과 가격이 한 알에 5000원을 넘어서면서 여론이 들끓고 있다.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 봄 냉해와 서리, 여름철 강우와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 2021년과 2022년 50만 톤 이상이던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 40만 톤 이하로 급감했다.
농업 전문가들은 인구 고령화와 지방 소멸로 인해 사과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도 2단 사왔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