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에게 필수인데 “이건 말도 안 된다”… 소비자들 ‘분통’, 무슨 일?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빵값 상승 지속에 소비자 불만.
  • 프랜차이즈와 일반 빵집 가격 차이 논란.
  • 원재료비와 인건비 상승이 원인.

한국의 빵값 상승이 지속되며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 빵 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6.5% 상승.
  • 한국의 빵값은 프랑스, 미국보다 비쌈.
  • 원재료와 인건비 상승이 주요 요인.
  • 베이커리 업계의 수익성은 증가.

최근 한국의 빵값 상승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빵은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가격 상승으로 인해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로, 지난해보다 6.5% 상승.
  • 프랜차이즈와 일반 빵집의 가격 격차가 논란이 됨.
  • 인건비와 원재료비 상승이 빵값 상승에 기여.
  • 한국의 빵값은 국제적으로도 높은 수준.
  • 베이커리 업계는 영업이익 증가를 기록.
  • 소비자 불만은 지속되고 있으며,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
빵값 6개월째 고공행진에 소비자 분노
프랜차이즈와 일반 빵집 가격 격차 논란
원재료비·인건비 등 복합적 요인 작용
빵값
국내 빵 가격 / 출처: 연합뉴스

최근 한 유튜버가 990원짜리 소금빵을 판매하면서 일반 프랜차이즈 빵값의 3분의 1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해 빵값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인건비 상승과 수입 의존적인 원재료 가격 인상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는 가운데,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반 주식’으로 자리 잡은 빵값 상승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한국 빵값, 이렇게 비싼 게 정당할까?

한국 빵값, 왜 이렇게 비싼가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빵값
국내 빵 가격 / 출처: 연합뉴스

지난해 빵 물가는 2020년 대비 30.5% 증가해 같은 기간 전체 물가 상승률(14.2%)의 두 배를 기록했다. 더 심각한 것은 빵값이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6%대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높은 빵값은 국제 비교에서도 확인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공주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100g당 평균 빵 가격(703원)은 빵 문화의 본고장인 프랑스(609원)는 물론, 미국(588원)과 호주(566원)보다도 현저히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 왜 한국의 빵값이 이렇게 비싼가요?

한국의 빵값이 높은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 밀, 달걀, 우유 등 주재료의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 한국은 밀의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정세와 환율 변동에 취약합니다.
  • 인건비 상승 또한 빵값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빵값 고공행진의 복합적 원인

이런 높은 가격대 속에서 국내 베이커리 전문점은 상당한 수익성 향상을 이룬 것으로 드러났다.

빵값
국내 빵 가격 / 출처: 연합뉴스

매출은 2020년 약 6조 240억 원에서 2022년 약 7조 5천700억 원으로 25.7%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700억 원에서 4천700억 원으로 무려 75.3%나 늘었다.

양산빵 시장도 비슷한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양산빵 판매액은 2018년 2조8천372억 원에서 2022년 3조9천589억 원으로 연평균 8.7% 증가했다.

더욱 주목할 점은 1kg당 생산 단가가 2020년 2천9원에서 2022년 4천534원으로 상승했는데, 같은 기간 판매단가는 2천485원에서 5천591원으로 더 크게 뛰어 생산자와 소비자 간 가격 격차가 확대되었다는 사실이다.

업계의 반박과 소비자 불만

빵값
국내 빵 가격 / 출처: 연합뉴스

이러한 상황에 대해 프랜차이즈 업계는 높은 가격 상승에 대한 비판에 대해 영업이익률이 낮다며 반박한다.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파리크라상의 2024년 영업이익률은 1.16%, 뚜레쥬르를 운영하는 CJ푸드빌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4% 수준에 그쳤다는 것이 그들의 설명이다.

베이커리 업계 관계자들은 빵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인건비 증가를 꼽는다. 또한 밀가루, 달걀, 우유 등 주재료 가격이 상승한 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국은 밀의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정세와 환율 변동에 따른 가격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빵값
국내 빵 가격 / 출처: 연합뉴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최근 빵이 ‘반 주식’이 됐다. 그런데 물가 상승으로 부담이 커지니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출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빵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그 가격 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민감도 역시 높아지는 것이다.

0
공유

🤖 AI에게 기사 관련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기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독자 의견 결과

한국 빵값, 이렇게 비싼 게 정당할까?
정당하다 0% 정당하지 않다 100% (총 4표)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