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11만개 준다더니”…하루아침에 뒤집어졌다, 80조 대박 꿈 ‘와르르’

‘80조 효과’ 기대 속 가덕도 신공항 제동
현대건설 손떼며 사업 지연 불가피해져
부산 미래 걸린 인프라, 해법은 아직 안갯속
가덕도 신공항 현대
영덕대교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부산의 미래를 바꿀 거대한 프로젝트에 급브레이크가 걸렸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 사업 주관사였던 현대건설이 최근 “무리한 공사기간 단축 요구로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며 사업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컨소시엄 전체가 아닌 현대건설의 독자적 결정이지만, 사실상 사업의 중심축이 빠져나간 상황이다.

국토부는 ‘사업 정상화에 차질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지만, 입찰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할 가능성이 높아 일정 지연은 불가피해졌다.

‘80조 경제 효과’의 시작점…가덕도 신공항이 꿈꾸던 판 바꾸기

가덕도 신공항 현대
출처: 연합뉴스

그렇다면 가덕도 신공항은 왜 이토록 중요한 프로젝트였을까?

‘부산을 바꿀 단 하나의 카드’로 불려온 이 신공항은 공항 그 자체를 넘어선, 지역의 운명을 가를 열쇠였다.

신공항 건설로 인해 전국적으로 80조 원에 가까운 생산 유발 효과와 30조 원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는 전망이 잇따랐다.

이 거대한 경제적 파급력 중 상당 부분이 부산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지역 경제계의 기대는 폭발적이었다.

가덕도 신공항 현대
출처: 연합뉴스

공항이 들어서면 하늘길 하나가 추가되는 차원을 훨씬 뛰어넘는다. 부지를 다지고 건물을 세우는 과정에서 수많은 인력과 장비, 자재가 투입되며 지역 경제의 톱니바퀴가 본격 가동된다.

신공항 주변에는 비즈니스와 관광, 물류를 아우르는 복합도시가 계획되어 있다. 특히 ‘Sea & Air’로 불리는 항만·공항 복합 물류 시스템이 핵심이다.

이는 바다와 하늘을 연결하는 통합 운송망으로, 배로 들어온 화물을 즉시 항공기로 실어 나르거나 그 반대 과정을 원활하게 만드는 첨단 물류 체계다.

이 때문에 시스템은 부산을 동북아 물류허브로 도약시킬 강력한 엔진으로 주목받아 왔다.

‘일자리 11만 개’가 품은 의미…부산 청년을 되돌릴 마지막 기회

가덕도 신공항 현대
출처: 연합뉴스

세계 각지 기업들의 투자 유치는 물론, 바이오와 반도체 같은 신산업을 키우는 기반으로도 기대를 모았다. 건축물을 짓는 사업이 아니라, 지역의 산업 생태계를 완전히 재편하는 국가급 프로젝트인 셈이다.

고용 측면의 파급력 역시 막대하다. 건설과 운영을 통틀어 11만 개가 넘는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는 추산이 나왔다. 11만 개라는 숫자가 어느 정도 규모인가?

부산 전체 취업자 수의 약 7%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숫자 그 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젊은 층이 빠져나가던 부산에 양질의 일자리를 되돌려줄 수 있다는 점이다.

공항은 도시를 바꾸고, 교통은 사람의 삶을 바꾼다. 가덕도 신공항은 그런 변화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다. 부산을 한 단계 끌어올릴 절호의 기회, 지금 그 출발선에서 한 발짝 물러선 모양새다.

가덕도 신공항 현대
출처: 연합뉴스

아직 모든 문이 닫힌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문이 언제 다시 열릴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장밋빛 청사진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로드맵이다. 더 늦기 전에 적극적인 관심과 준비가 절실해 보인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0

  1. 이 숫자들이 과연 진실일까???
    오거돈이와 관변단체 지랄에 놀아난 거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