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4천억 반도체 공사, 입찰은 단독 참여
현대건설 외 실적 기준 못 채워 탈락
“수의계약 아니냐” 공정성 논란 확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 중인 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시작도 전에 논란의 중심에 섰다.
발주 금액만 1조4천억 원에 달하는 이 공공사업에 입찰할 수 있는 건설사가 단 한 곳뿐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건설업계 안팎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제의 배경은 입찰 자격 기준에 있다. LH는 이번 사업의 참여 조건으로 1조3,814억 원 이상의 단지 조성 실적을 요구했다. 사실상 국내에서 해당 실적을 가진 곳은 현대건설 컨소시엄뿐이다.
이로 인해 지난 1차 입찰에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자격 미달로 탈락했고, 2차 입찰마저도 동일 기준이 유지되면서 현대건설만이 유일하게 참가 가능한 구조가 만들어졌다.
입찰은 형식, 계약은 예정? 공공사업 ‘공정성’ 논란

다른 대형 공공사업의 전례를 보면 이 같은 고강도 기준은 예외에 가깝다.
예를 들어 가덕도 신공항 부지 조성공사처럼 총 사업비가 10조 원을 넘는 사업도 평가 기준을 공항, 항만, 교량 등으로 세분화하고 실적 요건을 완화해 다양한 기업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실제로 일부 사업에서는 입찰 조건을 조정하거나 공동 수급 범위를 넓혀 경쟁을 촉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LH 발주는 달랐다. 1차 입찰이 실패한 상황에서도 조건은 한 치도 바뀌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사실상 수의계약을 위한 형식적인 절차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LH는 “사업의 규모와 특수성을 고려한 고도 시공역량이 요구된다”는 입장이지만, 과도하게 높아진 기준이 공정한 경쟁을 막고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세계 최대’로 향하는 길, 시작부터 틀어져선 안 된다
이번에 조성될 부지는 용인시 남사면과 이동읍 일대 약 728만㎡ 규모로, 그중 494만㎡에 토공, 관로공, 배수지, 옹벽 등 기반 시설이 들어선다.
이후 이곳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과 관련 기업들이 속속 입주할 예정이다.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무대가 될 이 부지가 출발부터 편향된 구조로 운영된다면, 사업 전반에 대한 신뢰도 함께 흔들릴 수밖에 없다.
지금 필요한 건 기술력만이 아니다. 열린 경쟁, 투명한 절차, 그리고 다양한 기업이 실력을 펼칠 수 있는 무대가 반드시 따라야 한다. 초대형 공공사업의 공정성을 지키는 일, 그 출발점은 기준을 다시 묻는 일에서 시작된다.
왜? 이런 속보이는 짓을 할까? 이재명이가 대통령 되는줄 아나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