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배추 한 포기 6121원 돌파
라면·맥주·유제품까지 줄줄이 인상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 소비자 ‘한숨’

“요즘은 장보는 게 무서워요.”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34) 씨는 최근 마트에서 장을 보고 계산서를 받은 뒤 한참을 멍하니 서 있었다. 양배추 한 포기가 6000원을 넘고, 라면, 커피, 치즈까지 줄줄이 오른 가격에 당황한 것이다.
김 씨는 “예전엔 5만 원이면 장바구니가 꽉 찼는데, 지금은 반도 못 채운다”며 “월급은 그대로인데 장보는 값만 계속 올라서 생활이 점점 팍팍해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양배추 한 포기 가격이 배추를 뛰어넘었다. 무, 당근 등 주요 채소부터 라면, 맥주, 우유 같은 대표 식품까지 연달아 가격이 오르면서, 서민 장바구니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양배추가 배추 제쳤다… 치솟는 ‘밥상 물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3월 양배추 한 포기(상품 기준) 평균 소매 가격은 6121원으로, 1년 전보다 약 50% 급등했다.
배추(5506원) 가격을 가뿐히 넘어선 데 이어, 무는 전년 대비 66%, 당근은 27.5% 올랐다. 소비자들은 마트에서 채소 몇 개만 골라도 만 원을 훌쩍 넘기기 일쑤다.
가격 인상은 채소에만 그치지 않는다. 오뚜기는 다음 달부터 진라면 등 16개 품목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한다. 이에 따라 진라면 봉지면은 개당 거의 800원에 달하게 됐다.
농심은 이미 신라면과 짜파게티 등 인기 제품을 평균 7.2% 올렸으며, 팔도 역시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다. 사실상 라면 전반이 가격 상승 대열에 들어선 셈이다.
환율·인건비 ‘삼중고’… “더 이상 못 버틴다”

맥주도 예외는 아니다. 오비맥주는 다음 달부터 ‘카스’, ‘한맥’ 등 주요 제품 출고가를 평균 2.9% 인상할 계획이다. 많은 소비자가 즐겨 찾는 500mL 캔 제품만 동결됐을 뿐, 나머지는 이미 오를 예정이다.
유제품까지도 오름세를 피하지 못했다. 매일유업은 컵커피·두유·치즈 등 51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8.9% 올릴 예정이다. 이에 따라 출근길에 가볍게 사 마시던 컵커피나 간식용 치즈도 부담스러운 가격이 됐다.
업계는 원재료 값 상승과 환율, 물류비, 인건비 부담 등이 겹친 ‘삼중고’를 더는 감당하기 어렵다고 호소한다. 특히 수입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국내 식품업 특성상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추가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양배추 한 포기가 6000원을 넘어서는가 하면, 라면·맥주·우유까지 줄줄이 값이 오르는 상황에 서민들의 한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언제쯤 물가가 안정될지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올릴때 명목은 환율인상,원자재값 상승 그러나 안정되고 원자재값 내려도 제품가격 인내리는 이상한 나라. 정부 뭐하는지???
ㅋㅋㅋ 정부는 지들까리 정과 부를 두고 싸우는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