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떼루’로 레슬링 알린 ‘빠떼루 아저씨’
레슬링의 전설, 별이 되다

레슬링 용어 중 ‘파테르(par terre)’는 레슬링 경기 중 받는 벌칙을 의미한다.
일부러 소극적인 플레이를 하거나 반칙했을 경우 주어지는 벌칙으로, 어원은 프랑스 단어에서 왔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인들에게는 아마 ‘빠떼루’라는 말로 더 익숙할 것이다. ‘빠떼루’는 ‘파테르’의 일본식 발음이자 김영준 전 해설위원의 말버릇이기 때문이다.
‘빠떼루 아저씨’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던 김영준 교수가 15일 향년 76세로 세상을 떠났다.
레슬링의 전설, ‘빠떼루 아저씨’ 김영준

김영준은 1948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났다. 160cm의 작은 키를 가졌지만 단단한 체구를 가진 그는 전형적인 레슬링 선수의 체격이었다.
부친은 “공부 열심히 해서 면서기(공무원)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지만 그 뜻을 어기고 고교 시절 레슬링에 뛰어들었다.
김영준은 1970년 방콕 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수상하고, 이후 1972년 뮌헨올림픽과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에도 국가대표로 출전했다.
1976년 프로 선수를 은퇴한 이후에는 직장생활을 시작하여 대한주택공사에서 일했으나, 1983년 다시 체육계로 다시 돌아왔다.

이후 1984년 LA올림픽 레슬링 국가대표 자유형 감독을 맡았으며, 당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였던 유인탁을 직접 지도하기도 했다.
유인탁의 금메달이 확정되자 유인탁을 목에 태우고 경기장을 돌아다니기도 했다고.
레슬링 해설을 시작한 것은 1984년부터였다. 이는 86년 아시안게임, 88년 서울올림픽, 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96년 애틀랜타 올림픽까지 이어졌다.
김영준은 스스로가 방송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자책했으나 빠르고 투박한 말투, 해설 도중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사투리 등 친근한 해설로 당대 최고의 유명 인사가 되었다.

특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레슬링 해설을 맡으면서 본격적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머리를 들으야 함다”, “다리를 걸어야 함다” 등 특유의 ‘~슴다’체 어투가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이다.
그러나 뭐라 해도 김영준의 가장 유명한 유행어는 “이럴 땐 빠떼루를 주얍니다”일 것이다. 그의 말 덕분에 빠떼루라는 말은 전국적으로 매우 유명해졌다.
올림픽 기간 PC통신에 ‘빠떼루아저씨 전용게시판’이 개설되기도 했고, 라디오 프로그램에는 ‘빠떼루 아저씨 시사만평’ 코너까지 생길 정도였다.

특히나 1996년 8월 23일, 한총련(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을 비판하기 위한 “한총련, 빠떼루 줘야 함다”와 같은 멘트는 기사화까지 될 정도였다고.
김영준은 이런 인기를 부담스러워했으나 ‘레슬링 대중화’의 계기로 받아들였다.
‘빠떼루 아저씨’를 알아보는 사람들이 어색해도, “빠떼루 아저씨 때문에 레슬링을 보기 시작했다”는 말에 코미디 프로그램 출연도 거절하지 못했다.
하늘의 별이 된 ‘빠떼루 아저씨’

은퇴 이후에는 정치권에 몸을 담거나, 2013년부터 한민족공동체재단 부총재, 윤봉길기념사업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레슬링 이외에도 다양한 활동을 했지만 김영준과 레슬링, 그리고 스포츠는 떨어뜨려 놓을 수 없는 관계였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둔 2017년에도 인터뷰를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계의 악습과 부조리한 냉철하게 지적하는 모습 또한 보여주었다.
1997년 회고록에서 그는 “아버지 소원대로 면서기 못 되고 운동해서 죄송하다”면서도 “그렇지만 레슬링은 내 인생이었다”는 말을 남긴 바 있다.
비록 지병으로 인해 세상을 떠났지만, 김영준의 친근한 말투와 레슬링에 대한 열정은 오래도록 잊히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