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파수를 사용해
뇌의 특정 영역 자극하는 방식.
일반인도 운전 집중력 높아져..

모터스포츠는 그 자체로도 빠른 속도와 질주가 동반되며, 그런 만큼 높은 집중력과 순발력이 요구된다.
여태껏, 드라이버들은 다양한 학습과 경험을 통해 이러한 스킬을 동물적인 감각으로까지 연마해왔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드라이버들의 집중력과 판단 능력을 과학 기술을 통해 더욱 향상시킬 길이 연구되고 있다. 그 핵심은 뇌 자극기의 활용에 있다.
최근에 닛산이 선보인 뇌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은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여 레이서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운전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닛산은 현재 ‘브레인 투 퍼포먼스 프로그램(Brain to Performance program)’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핵심 요소인 ‘소날 디바이스(Sonal device)’를 통해 뇌를 자극해 인지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 기술은 연구 단계에서 이미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닛산 뇌 자극 기술 선구자되나
연구진은 포뮬러 E 드라이버들에게 ‘소날 디바이스’를 착용시키고 특정 주파수로 뇌의 일정 영역을 자극하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그 결과는 예상을 크게 초월했다.


2022~2023 시즌, 소날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라이버들은 눈에 띄게 빠른 랩타임을 기록하며, 동시에 레이스 중 발생하는 실수도 현저히 줄였다.
닛산 포뮬러 E 팀의 디렉터인 토마소 볼페(Tommaso Volpe)는 이에 대해 “이 기기를 제대로 활용하면 드라이버의 잠재력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이런 연구를 선두로 이끈 것은 매우 흥분되는 일”이라고 발언했다.
추가로, 이 기술이 단순히 프로 드라이버들만이 아니라, 일반 운전자들에게도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닛산의 주장이다.

루시안 게오르그(Lucian Gheorghe) 닛산 UX 이노베이션 수석 매니저는 닛산이 영국 에식스대학교와 스위스 캠퍼스 바이오테크와 협력하여 수행한 연구에서 뇌 자극을 받은 일반 운전자들이 그렇지 않은 운전자들에 비해 50% 더 빠르게 트랙을 학습하고, 랩타임 또한 50% 단축시켰다고 밝혔다.
참고로, 이 실험의 대상자들은 레이싱 시뮬레이터 경험이 전무한 일반인들이었다.
현재 닛산은 이 뇌 자극 기술을 어떻게 일반 운전자들에게도 접근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