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이 왜 이래?” LG전자 ‘모빌리티 랩웍스’ 공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차량용 디스플레이 3종, 디지털 콕핏 2종 공개
LG전자 모빌리티 랩웍스 기술 공개
모빌리티 랩웍스/출처-LG전자

LG전자는 최신 차량용 디스플레이와 디지털 콕핏 디자인을 공개했다.

최근, LG전자는 전장사업을 주관하는 VS사업본부 웹사이트에 ‘모빌리티 랩웍스 시리즈’라는 새로운 섹션을 추가했다.

이곳에서 롤러블, 플렉서블, 폴더블 등 전에 보지 못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3개와 디지털 콕핏 2개를 볼 수 있다.

LG의 기술, 모빌리티 랩웍스

먼저 ‘Min & Max 디스플레이’는 계기판,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 보조석 디스플레이 등을 ‘필러 투 필러 P-OLED’ 디스플레이로 결합했다.

LG전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공개
모빌리티 랩웍스/출처-LG전자

이 디스플레이는 L자 형태로 구부릴 수 있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큰 화면 또는 작은 화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시로, 상세한 정보가 필요한 목적지를 설정할 때 ‘Max 모드’를, 익숙한 길에서는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보여주는 ‘Min 모드’를 활용하면 된다.

다음 ‘Pop & Fold 디스플레이’는 3개의 화면이 슬림한 대시보드 안에 숨겨져 있으며, 필요할 때만 나타난다.

LG전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공개
모빌리티 랩웍스/출처-LG전자

중앙에는 18인치 폴더블 P-OLED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양 옆에는 90도로 회전하는 화면들이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마지막 ‘Flex & Slide 디스플레이’는 P-OLED를 사용하여 탑승객의 상황이나 콘텐츠에 따라 화면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LG전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공개
모빌리티 랩웍스/출처-LG전자

화면을 펴면 전체 화면을 영상이나 내비게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화면을 구부리면 키보드와 검색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장제품 콘셉트 공개는 이례적

3가지 디스플레이와 함께, LG전자는 두 가지 디지털 콕핏 디자인도 소개했으며, 여기에는 디스플레이, 커넥티비티, HMI(Human Machine Interface) 등 최신 기술이 통합되어 있다.

특히, 롤러블 디스플레이, 운전자 및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 5G 기반 V2X 등 LG전자의 연구 중인 기술들을 볼 수 있다.

LG전자 모빌리티 랩웍스 기술 공개
모빌리티 랩웍스/출처-LG전자

이 같은 콘셉트 공개는 LG전자로서는 이례적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LG가 이런 전략으로 자동차 제조업체 뿐만 아니라, 일반 고객들에게도 그들의 첨단 기술을 알릴 계획이라 보고 있다.

위드카 뉴스([email protected])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Half the price of an apartment soon

10억까지 갔었는데 “제대로 무너졌다”…최악의 상황, 결국 ‘현실로’

더보기

폭삭 주저 앉았다 “미국도 줄줄이”…14년 만에 ‘아뿔사’

더보기
한중 수출 지형도 급변

하필 또 중국에 “10년 만에 이게 웬일”…충격적 민낯에 ‘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