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졌던 이름, 다시 돌아왔다
플래그십 기술로 부활한 XC70
디자인부터 플랫폼까지 변신

약 10년 전 역사 속으로 사라졌던 볼보의 모델명이 다시 등장했다. 단순한 이름의 재사용이 아니다. 디자인, 플랫폼, 파워트레인까지 전면적으로 재설계된 신형 XC70은 볼보 전동화 전략의 전환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볼보는 오는 9월, 신형 XC70을 공식 공개할 예정이다. 이 모델은 단종되었던 왜건 XC70의 직접적인 후속은 아니지만, 이름을 계승해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돌아왔다.
외신을 통해 먼저 공개된 차량 이미지는 중형 SUV 시장에 던지는 볼보의 메시지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SMA 플랫폼 최초 적용…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술 총집약

XC70은 볼보가 새롭게 개발한 SMA(Scalable Modular Architecture) 플랫폼이 최초로 적용된 모델이다.
이 플랫폼은 프리미엄 장거리 주행을 위한 하이브리드 전용 구조로, EV 모드만으로 최대 200km(CLTC 기준)를 달릴 수 있다. 이는 볼보의 기존 SPA 기반 모델보다 훨씬 긴 수치다.
차체 크기는 전장 4815mm, 전폭 1890mm, 전고 1650mm로, XC60보다 전반적으로 크다. 여기에 1.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리튬이온 또는 LPF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탑재돼 트림에 따라 다양한 주행 옵션을 제공한다.

볼보는 이 모델이 “전기차로의 전환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에게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 전략적 진입점임을 강조했다.
EX90 닮은 외관, 북유럽 감성+디지털 기술 집약

디자인 역시 대대적인 변화가 눈에 띈다. 전면부는 전기 SUV EX90의 디자인 언어를 물려받아, 디지털 토르의 망치 주간주행등이 적용된다.
여기에 폐쇄형 프론트 그릴, 분할형 수직 헤드램프로 미래지향적인 인상을 선사하며 범퍼 하단에는 액티브 셔터 그릴이 적용돼 공기 저항을 줄이는 데 일조한다.
측면은 프레임리스 도어와 히든 타입 도어핸들, 21인치 휠로 세련미를 살렸고 후면 역시 L자형 테일램프와 블랙 가니쉬가 안정적인 비율을 형성하며 시각적 무게감을 준다.

실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EX90과 유사한 디지털 중심의 레이아웃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퀄컴의 최신 칩셋 SA8295가 탑재돼 물리 버튼을 최소화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레벨 2+ 수준의 반자율주행 기능을 포함한 ADAS 시스템도 장착돼 프리미엄 SUV로서의 상품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XC70은 당초 중국 시장을 위해 개발된 모델이다. 연내 중국 현지에서 생산이 시작되며 본격적인 판매도 뒤따를 예정이다. 하지만 볼보 내부에서는 글로벌 진출에 대한 논의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SUV 수요와 전동화 전환이라는 글로벌 흐름을 볼 때 XC70의 해외 진출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