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확대
25% 추가 관세 대상 늘어나
韓 자동차 업계 직격탄 우려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에 재앙 수준의 악재가 닥쳤다. 트럼프 행정부가 25% 관세 적용 대상인 자동차 부품 품목을 대폭 확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미 지난 5월부터 엔진, 변속기, 전자부품 등에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타격이 예고되면서 한국 부품업체들은 생존 위기에 내몰렸다.
트럼프의 지시에 따라…美 상무부 ‘관세 확대’ 시동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적용할 수 있는 품목을 확대하기 위한 공식 절차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핵심은 미국 내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들이 원하는 품목에 대해 상무부에 관세 적용을 요청할 수 있다는 점으로 다음 달 1일부터 의견 접수가 시작되며, 매년 1월, 4월, 7월, 10월 총 4차례 정기적으로 수요를 받는다.
상무부는 관련 요청이 접수되면 60일 이내에 관세 적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기업의 요청에 따라 관세 부과가 결정되는 구조는, 미국 업체들이 경쟁사를 직접 타깃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맞춤형 규제’로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 업체, 엔진·변속기 이어 전자부품까지 ‘직격탄’ 우려

이미 지난 5월 3일부터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전자부품 등 일부 주요 자동차 부품에는 기존 세율 외에 25%의 추가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이에 미국 시장에 부품을 수출하던 한국 업체들은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특히 이번 조치로 관세 대상이 더 늘어날 경우, 한국 부품업계는 한층 더 큰 압박에 놓이게 된다. 또한 중소형 부품기업의 경우 수익성 악화는 물론 거래 자체가 끊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국내 한 부품 업체 관계자는 “물량을 맞추기 위해 미국 현지 조립업체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단가 맞추기도 벅차다”며 “이런 식이면 생산을 유지하기도 어려워진다”고 전했다.
철강 이어 자동차까지…韓 제조업계 전방위 압박

이러한 관세 확대는 단순히 미국으로 부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에게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수입 부품을 활용해 현지에서 차량을 조립하는 기업들의 비용 부담도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특히 현대차·기아가 미국에서 운영하는 공장들도 한국산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추가 관세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으며 이미 철강 관세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생했다.
상무부가 지난 12일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등 가전을 추가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미국으로 가전을 수출하는 업체들도 철강관세를 부담해야 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한편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는 이미 어려운 경영 환경에 처해 있다. 전기차 전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추가 관세 부담까지 떠안게 되면서 생존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