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소 보강하는 유럽
한국은 전국에 2만여개
관리 부실 등 지적도 존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여파로 유럽 각국이 군비를 보강하는 가운데 민간인 보호를 위한 대피소가 화두에 오르고 있다.
과거 유럽은 냉전 시기 동안 다량의 벙커와 대피소를 운영하였으나 평화의 시기 동안 대규모 감축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 증대로 전쟁을 대비하는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되레 대피소 등을 확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럽의 움직임에 한국도 적국의 공습에 대비한 대피소 인프라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벙커와 대피소 보강하는 유럽

최근 유럽에선 기존에 보유하고 벙커와 공습 대피소를 보강하고 현대적으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먼저 독일은 2026년까지 시범사업으로 100만 명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진행 중이다.
독일은 과거 2,000개 이상의 벙커와 대피소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냉전 종식 이후 불과 58곳의 대피소만 남아 있으며 이러한 시설로 대피할 수 있는 인원은 전체 인구의 0.5%뿐이다.
이 때문에 독일은 일차적으로 100만 명이 피신할 수 있는 대피소를 확보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전국에 각종 대피소를 확장할 계획이다.

여기에 스위스도 벙커와 대피소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스위스는 과거 8,000개에 육박하는 벙커를 보유하였으나 이후 상당수가 민간에 매각되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스위스군은 2023년부터 벙커 매각을 금지하고 군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도 전국 각지에 대피소 운영

유럽이 과거에 사용하던 벙커와 대피소를 점검하고 보강하는 건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럽의 행보는 유사시 적의 포탄 등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할 대피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한국 역시 북한과 지척에 위치한 만큼 언제든 신속하게 피신할 수 있는 대피소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전국에는 약 2만여개의 민방위 대피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2023년부터는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 티맵 등에서 ‘민방위 대피소’를 검색하면 주변에 위치한 대피소를 찾을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안전디딤돌’ 앱이나 ‘국민재난안전포털’ 등 정부 사이트를 활용하면 민방위 대피소의 위치 이외에도 최대 수용 인원 등 보다 자세한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대피소 관리 부실 등은 여전한 숙제

그러나 이러한 대피소만으로는 유사시 적의 공격으로부터 국민들을 완벽하게 보호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화생방 방호가 불가능하다는 점과 평시에 제대로 된 관리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 주된 지적 사항이다.
2017년에 진행된 조사에선 서울에 위치한 대피소 중 화생방 방호가 가능한 대피소는 전무했다. 군 관계자는 민방위 대피소는 일차적으로 적의 공습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화생방 방호 시설까지 갖추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북한의 화학무기 보유량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대응과 보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대피소 문을 잠가 놓거나 사실상 방치되어 벌레가 들끓는 문제 등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 밖에도 최근 폴란드는 적 공습 시 대응 요령과 대피소 위치 등을 기재한 안내서를 전국에 배포할 예정인 것처럼 한국도 관련 자료를 제작하여 국민들에게 안내하는 것도 긍정적인 방안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