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전기차 시대 성큼
EV3 하루 3천 원 유지비
가성비 택시 선택지로 부상

전기차 대중화를 목표로 출시된 기아의 EV3가 택시 업계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출시 직후부터 택시 기사들의 입소문을 타며 등록 대수 상위권에 진입했고, 유지비 절감 효과가 부각되며 택시 시장 내 전기차 선택 흐름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EV3는 보조금 적용 시 3000만원 초반대 가격으로 장시간 운전과 높은 주행거리를 감당해야 하는 택시 특성상 1일 유지비가 3000원대에 불과한 점이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V3, ‘가성비 택시’로 입소문…등록 대수 상위권

기아의 소형 전기 SUV EV3가 택시 시장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다. EV3는 지난해 출시 이후 올해 4월까지 총 496대가 택시로 신규 등록되었으며, 승용 택시 등록 순위 10위권에 진입했다.
택시 업계 내에서 EV3는 가격 대비 성능과 유지비 측면에서 ‘가성비 택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보조금을 반영하면 EV3는 3000만원 초반대 가격에 구입 가능하다.
이는 택시 운행에 적합한 뒷좌석 공간을 확보한 모델 중 저렴한 편에 속한다. 비슷한 가격대의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은 공간이 협소해 택시용으로는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EV3를 실제 운행 중인 택시기사들은 전기차의 유지비 절감 효과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한 택시기사는 EV3의 장점을 언급하며 주변 기사들에게 구매를 적극 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택시기사는 “하루 최소 300㎞ 가량을 운행하고 있는데, 충전비용이 일 평균 3000원 수준에 불과하다”며 유지비가 낮아 운행하는데 부담이 없다고 전했다.
전기 택시 증가세…‘캐즘’ 지나 다시 확산 조짐

한편 전기 승용 택시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 903대였던 전기 택시 신규 등록 대수는 2021년 4993대, 2022년 1만5765대로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전기차 전반에 나타난 ‘캐즘(수요 정체 현상)’이 택시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며 2023년 1만2552대, 2024년 5881대로 감소했다.
업계는 이에 대해 전기차의 초기 수요층이 대부분 구매를 마친 상황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전기 택시가 초기에 인기를 끌며 이미 살 사람은 다 산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기차를 운행해본 택시 기사들이 재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일정 수준의 수요는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친구 뱃터리충전불가판정받음. 18만km에서 .
택시요금 내려야지
앞으로 닥칠
포화상태 자동차시대다
멍멍 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