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 차량용 플랙시블 입체조명 모듈
‘넥슬라이드’로 자동차 조명 모듈 시장 공략
LG이노텍이 ‘넥슬라이드(Nexlide·Next Lighting Device)’의 상용화 10주년을 맞이해 글로벌 차량용 조명 모듈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고 13일 전했다.
리포트 인사이트에 따르면 2022년 약 219억 달러(약 30조 원) 규모였던 세계 자동차 조명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2030년 320억8000만 달러(약 44조1600억 원)가 될 전망이다.
LG이노텍 ‘넥슬라이드’, 연평균 매출 성장률 47% 달성
LG이노텍의 ‘넥슬라이드’는 차량용 플렉시블 입체조명 모듈로서, 차세대 차량 라이팅 솔루션으로 인정받아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넥슬라이드는 주간 주행등(DRL)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CL) 등 자동차의 다양한 부분에 적용 가능하며 차량 디자인과 안전 기능을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47%를 기록했으며 지난달 기준 누적 수주는 146건을 달성했다. 이러한 성과는 넥슬라이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로 평가된다.
에너지 효율성 높아 전기차에 적합
LG이노텍은 ‘넥슬라이드(Nexlide)’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 두께를 최소화하고 밝기는 높인 ‘넥슬라이드-M’ 등 신제품도 도입했다. 현재까지 88개 차종에 9개의 모델이 적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면광원을 구현하기 위해 점광원에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부품을 사용해야 했으나, 넥슬라이드 개발로 이러한 필요가 사라졌다.
이 조명 모듈은 얇은 기판 위에 다수의 광원 패키지와 휘어지는 광학 레진, LG이노텍의 미세 광학 패턴 기술이 적용된 고성능 광학 필름을 사용해 만들어져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자랑한다.
특히 전기차에 적합하며 LG이노텍은 200여 건이 넘는 기술 특허를 획득, 넥슬라이드 관련 독점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신 모델인 ‘넥슬라이드-M’은 모듈 두께를 기존 제품의 30% 수준으로 줄이는 새로운 제조 방법을 도입했다. 뿐만 아니라 밝기를 기존 제품 대비 4배 증가시켜 주간 주행등(DRL)의 글로벌 법규 기준인 500칸델라를 충족했다.
LG이노텍은 넥슬라이드 적용 시 소비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높은 밝기를 낼 수 있는 모듈 덕분에 적은 전력으로도 필요한 밝기 확보가 가능해 전기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중저가 전기차 OEM 시장을 타겟으로 한 차세대 넥슬라이드의 개발을 내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LG이노텍은 밝혔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인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기차 시대에 시름시름 앓고 있는 자동차 강국 독일
자동차도 하나의 거대한 전자기기 흐름으로 변하고 있는 대격변의 시기, LG이노텍과는 다르게 기존 내연기관 업체들은 역성장을 하는 중이다.
특히, 내연기관 전통 강자인 독일은 작년 IMF와 OECD로부터 ‘역성장 전망서’를 받았다. 독일 자동차 산업은 과거 20년 가까운 시간동안 중국에서 판매량 1위를 차지하며 성장했다.
자동차 산업은 독일에서 200만 명 이상의 고용을 책임지는 중요 산업인데, 최근 현지 독일 언론들은 “독일의 전통 산업(자동차)이 사라질 위기에 쳐했다”라며 걱정하고 있다.
독일 자동차 기업들은 중국에 진출하면서 자동차 제조 기술을 현지 업체에 전수 해줬는데, 이 당시 중국에 진출하려면 기술 이전과 부품의 현지 조달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독일의 우수한 자동차 기술들은 중국으로 넘어갔으며, 익명의 벤츠 관계자는 “(중국에게) 지식 이전을 한 것은 어리석은 결정이었다. 장기적으로 독일 제조업체들이 스스로 무덤을 팠다”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자동차 산업에 대변혁이 일어나는 중요한 시기, 전자기기를 만들던 한국업체들에게는 기회인 반면, 내연기관인 독일 업체들에게는 위기인 순간이다.
쓰래기는 치워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