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부터 지방 어르신들까지”…칼 빼든 정부, 대중교통 사각지대 없앤다

국토부 자율주행에 26억 원 지원
지역 특성에 맞춘 자율주행 도입
산업 성장과 국민 이동편의 높여
Autonomous driving operational costs
도봉~영등포 노선 ‘새벽동행 자율주행버스’ / 출처-연합뉴스

국토부는 지난 18일, 전국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자율주행 서비스 운영비 총 26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서울, 세종, 경기, 충남, 경북, 경남, 제주 등 전국 각지에서 지역 특성에 맞춘 자율주행 서비스가 도입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국민의 이동편의 개선을 도모할 계획이다.

도심에서 농촌까지, 맞춤형 자율주행 서비스

Autonomous driving operational costs (2)
하동 농촌형 자율주행버스 / 출처-경남 하동군

먼저, 농촌 지역인 경남 하동에는 고령층을 위한 특별한 자율주행 버스가 도입된다. 고령층 비율이 높고 대중교통이 열악한 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짐칸을 겸비한 농촌형 자율주행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그동안 병원, 시장, 복지회관 등을 방문할 때 긴 거리를 걷거나 짐이 있을 경우 택시를 이용해야 했던 주민들의 불편이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서울에서는 심야·새벽 시간대 자율주행 서비스가 대폭 확대된다. 강남 지역의 심야 택시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자율주행 택시를 현재 3대에서 7대로 증차한다.

Autonomous driving operational costs (3)
심야 자율주행 택시 / 출처-서울시

여기에, 운행구역도 기존 역삼·대치·도곡·삼성·서초 일부에서 논현·신사·압구정·청담을 포함한 강남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이른 새벽 출근자들을 위한 첫차 버스도 기존 도봉~영등포 160번 노선에 더해 은평~양재 741번, 금천~세종로 504번, 상계~고속터미널 148번 등 3개 노선이 추가되고, 차량도 1대에서 4대로 늘어난다.

지역별 맞춤형 교통 솔루션

Autonomous driving operational costs (4)
안양시 자율주행버스 ‘주야로’ / 출처-안양시

경기도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선보인다. 판교에서는 도시첨단산업단지 근로자들의 이동편의를 위한 노선버스를, 안양에서는 주간 및 심야 노선버스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세종시는 광역 자율주행버스(BRT 정거장)와 주거단지를 연계하는 자율주행 ‘라스트마일’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 밖에도, 경주시는 올해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에서 회의장과 숙소를 잇는 자율주행 셔틀을 운영하여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을 전 세계에 선보일 예정이다.

Autonomous driving operational costs (5)
경주 APEC 자율주행 셔틀 / 출처-국토부

또한, 제주도는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연결하는 노선버스를 도입해 관광객들의 지역 간 이동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자율주행이 이미 일상 속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 국민 체감도는 낮은 상황”이라며 “이번 서비스 지원사업을 통해 자율주행 신기술·서비스의 도전적 실증으로 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국민의 이동편의를 높여 자율주행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utonomous driving operational costs (6)
제주 탐라자율차 / 출처-연합뉴스

한편, 이번 지원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서울 5억원, 세종 1.5억원, 경기 판교 4.5억원, 안양 3.5억원, 충남 천안 1.5억원, 경북 경주 6억원, 경남 하동 1.5억원, 제주 2.5억원 등 총 26억원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

  1. 세금 허튼대 쓰지말고 진짜료 교통취약자를 위한다면 흉기차에 특혜주지말고 반값택시비를 지원해주라. 누구를 아바타로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