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용산국제업무지구 프로젝트 시작
- 서울의 대규모 도시 개발
- 친환경, 보행 중심 도시 목표
서울 용산 일대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도시로 변모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서울의 중심부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시작
- 도시의 업무, 주거, 문화 공간이 결합된 콤팩트시티 구현
- 친환경 녹지 조성과 탄소 제로 도시 목표
서울시는 용산 일대를 세계적인 비즈니스 허브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만에 첫 삽을 뜨며,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역에서 한강까지 이어지는 입체복합수직도시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 지역을 2028년까지 도로와 공원 등 기반 시설을 조성한 후, 2030년부터 입주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 서울의 중심부에서 벌어지는 대규모 도시개발
- 오세훈 서울시장과 시민들이 참석한 기공식
- 비욘드 조닝 개념을 적용해 다양한 공간 기능 결합
- 보행 중심의 도시 환경과 대중교통 분담률 확대 목표
- 탄소 제로 친환경 도시 모델 구현
- 경제적 효과와 일자리 창출 기대
10년 만에 첫 삽
45만㎡ 초대형 개발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탄생

서울의 중심부에서 벌어질 놀라운 변화가 드디어 현실이 된다. 오는 27일, 용산 일대가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대규모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10년 전 처음 계획이 논의됐을 때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반신반의했던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이제 본격적인 첫걸음을 내딛는다. 서울시는 16일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에서 기공식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기공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약 5천명의 관계자, 시민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일반 시민들도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서울 심장부에 펼쳐질 미래 도시의 모습
🗳 의견을 들려주세요
용산국제업무지구, 서울의 미래를 바꿀까?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역에서 용산역, 그리고 한강변까지 하나로 이어지는 거대한 입체복합수직도시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약 45만6천㎡에 달하는 넓은 구역에서 2028년까지 도로와 공원 등 기본 시설 공사를 마치고,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들이 입주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의 안정성을 위해 코레일과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가 사업 주체로 나서며, 공공이 기반 시설을 먼저 조성한 뒤 민간이 개별 구역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4시간 살아 숨쉬는 콤팩트 시티 탄생
💡 용산국제업무지구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용산국제업무지구 프로젝트는 서울 용산 일대를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대규모 도시 개발 사업입니다.
- 서울의 중심부에서 용산역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를 목표로 합니다.
- 이 프로젝트는 업무, 주거, 문화 공간이 결합된 ‘콤팩트시티’를 구현합니다.
- 친환경 도시 조성을 통해 탄소 배출 제로를 목표로 합니다.

서울시가 그리는 미래상은 업무와 주거, 문화 공간이 수직으로 어우러진 구조다. 사람들이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을 한 건물이나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 안에서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시티’를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이 프로젝트의 특별함은 전통적인 상업·업무·주거 구분을 뛰어넘는 ‘비욕드 조닝’ 개념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하나의 건물 안에 다양한 기능을 섞어 넣어 24시간 활력이 넘치는 복합 도시 구조를 만든다.
보행 중심의 도시 환경도 주목할 부분이다. 보행 전용 길과 하늘에 설치되는 보행교, 입체 데크 등을 통해 사람들이 걷기만 해도 출퇴근과 쇼핑, 문화생활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대중교통 분담률을 현재 57%에서 7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서울시는 착공과 함께 글로벌 기업들의 아시아태평양 본부를 유치하는 작업도 본격화한다. 2030년대 초 첫 글로벌 기업 입주를 목표로 정부와 사업 주체가 함께 나서 유명 기업들의 투자를 이끌어낼 예정이다.
탄소 제로 친환경 도시 모델 구현

친환경 도시 조성에도 특별한 노력을 기울인다. 사업 부지 전체를 녹지로 확보하고, 용산공원과 한강공원, 노들섬으로 이어지는 녹색 축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탄소 배출 제로 지구로 운영하면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미래형 친환경 도시의 본보기를 만들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서울시는 국제업무지구 완성 후 매년 1만2천명의 일자리와 3조3천억원의 경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 기간에만도 14만6천명의 고용과 32조6천억원의 생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국토교통부도 이 사업을 국가 경쟁력을 상징하고 국민 자긍심을 높이는 전략사업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와 코레일, SH공사와의 협약을 통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의 앞으로 100년을 여는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라며 “기술과 문화, 사람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도시 문화를 만들어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결정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